Q. 월세 계약이 끝나기 몇달전에 이사하겠다는 말을 집주인에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1. 보통 퇴거 3개월 전. 아무리 늦어도 퇴거일 기준 2개월 전에는 말씀하셔야 묵시적갱신을 피할 수 있습니다.2. 임대인에게 다음 세입자가 구해지지 않아도 보증금을 줄 수 있는지 먼저 물어보시고,가능하다 하면 기존 집 계약서상 잔금일 기준, 다음 집 잔금일을 정합니다.다음 세입자가 들어와야 보증금 반환이 가능한 경우, 다음 세입자 입주일에 맞춰 협의합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Q. 줄눈, 탄소코팅, 나노코팅이 뭔가여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줄눈은 타일과 타일 사이에 시멘트를 긁어내고 실리콘으로 메꾸는 작업으로, 화장실 세면대, 욕조, 주방 현관 등에 시공합니다.관리가 잘 되지않아 곰팡이 및 떼가 낀다는 단점은 있지만, 집 콘크리트에 도움 되니 시공하시는걸 권합니다.탄소코팅이 아닌 탄성코팅은 베란다나 다용도실쪽 페인트에 코팅을 하는 개념으로결로, 곰팡이 방지 및 단열 효과가 있습니다.겨울철이니 결로방지를 위해 하시는게 좋습니다.나노코팅은 물체 표면에 적용되는 나누 구조의 활용을 말하며, 표면을 코팅하므로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같은 청소를 해도 효과가 더 좋습니다.다만 2 ~3개월 뒤 벗겨지는게 일반적이라 실입주 및 주기적으로 할 거 아니면 굳이 할 필요 없습니다.사실 전세를 주신다면, 위 세가지 전부 굳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특히 나노코팅 보다는 입주청소를 해준다고 어필하는게 더 세입자 구하시기 수월하다 생각됩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Q. (가십) 가정한 사건. 이런 상황에서는 법적으로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은행은 시공사에 이자요구를 하며, 이자를 미납하면 해당 시공사에 소송을 겁니다.그러면 시공사는 상가 주인에게 소송을 걸고, 상가주인은 임차인에게 소송을 걸겠죠.당사자가 아닌 제3의 인물이 원인이니 그쪽에 청구해라는 원칙적으로 맞지 않습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Q. 이사할때 장기수선충당금 궁금한게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장기수선충당금은 본래 소유권자가 내야 하는 관리비이나, 임차인이 매달 관리비 납부 시 장충금을 포함하여 납부하고추후 임대차 만료 시 관리소에 정산하여 임대인에게 반환받습니다.장기수선충당금은 계약만료시 반환받으며, 일반적으로 보증금만 먼저 반환받고 짐을 치운 다음임차인 과실로 있는 하자가 있는지 체크한 후 장기수선충당금을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합니다.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