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문학,영화,음악 작품에서 구름이 자주 비유되는 감정,상태는 무엇이며 대표작품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구름은 문학이나 영화에서 다양한 감정이나 상태를 비유하는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구름의 형태, 색, 움직임에 따라 여러가지 의미를 지니게 되는데,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① 덧없음, 불안정함, 변화: 구름은 끊임없이 형태를 바꾸고 흘러갑니다. 이는 인생의 덧없음, 불안정한 상황, 예측 불가능한 미래 등을 상징합니다. 행복이나 슬픔같은 감정 역시 영원하지 않고 구름처럼 흘러간다는 것을 비유할 때 시용되기도 합니다.예) 영화 《클라우드 아틀라스》, 서정주 시인의 《동천》 등② 우울, 슬픔, 고뇌: 먹구름이나 흐린 날의 구름은 헷빛을 가려 어두운 분위기를 만듭니다. 이는 마음 속의 우울함, 슬픔, 고뇌, 답답함 등을 비유하는데 사용됩니다.예) 영화 《이터널 선샤인》,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 등③ 자유, 동경, 꿈: 구름은 하늘을 자유롭게 떠나닙니다. 이는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로움, 현실을 초월하고 싶은 동경, 비현실적인 꿈이나 이상을 상징합니다.예) 영화 《업》, 백석 시인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등④ 신비, 초월, 영적 존재: 구름은 손에 잡히지 않고 하늘 높은 곳에 존재하며, 해와 달을 가리거나 신비로운 빛을 내뿜기도 합니다. 이는 신이나, 영적인 존재, 초월적인 힘을 상징합니다.예) 성경,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품에서의 묘사 등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아이나 어른 모두에게 교훈/울림을 주는 그림책은?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아이와 어른에게 모두 생각할 거리를 주는 그림책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① 「아낌없이 주는 나무(the giving tree)」 - 셀 실버스타인: 나무와 소년의 관계를 통해 주는 것과 받는 것의 소중함을 배울수 있으며, 부모의 희생과 사랑, 관계의 본질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책입니다. 다양한 해석을 통해 깊은 사유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② 「100만 번 산 고양이」 - 사노 요코: 여러 주인을 거치며 죽고 다시 태어나는 고양이의 이야기를 통해 죽음이 끝이 아니라 삶의 한 부분임을 느끼게 해주며, 담담하지만 대담한 서사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존재의 가치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③ 「길 잃은 아이(the lost thing)」 - 숀 탠: 낯설고 이상한 생명체를 도와주는 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다름을 인정하고 도움이 필요한 존재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따뜻한 마음을 느끼게 해주며, 무관심이 지배하는 도시 사회에서 '길 잃은 것'으로 치부되는 존재들을 기억하는 것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해줍니다. 또한, 획일화된 사회속에서 개성과 창의성이 사라져가는 모습을 풍자합니다.④ 「나무는 숲을 이억하지 않는다」 - 김선진: 한그루의 소나무가 베어진 후, 숲속 나무들이 서로의 존재를 잊고 단절되는 이야기를 통해 함께 사는 것의 중요성을 말해주며, 공동체의 기억이 사라질 때 발생하는 비극의 모습, 그리고 그 기억을 이어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전달해줍니다.⑤ 「나는 기다립니다...(I wait...)」 - 다비드 칼리: 아이들이 흔히 기다리는 것들(풍선, 크리스마스 선물 등)을 보여주며 기다림이 즐겁고 설레는 일임을 보여주고, 인생의 흐름과 소중한 순간들을 되돌아보게 해줍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콜라가 나라마다 만들어지는 재료가 조금씩 다르다고 하던데,,,왜 그런건가요?? 그리고 맛에 차이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실제로 코카콜라는 나라마다 재료가 조금씩 다르며, 이로 인해 맛이 차이가 발생합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가장 큰 차이는 단맛을 내는 재료인 감미료의 차이가 있습니다. 코카콜라 본사는 각 나라의 보틀링 공장에 콜라 원액을 공급합니다. 각 나라의 보틀링 공장은 이 원액에 물과 탄산, 그리고 감미료를 섞어 완제품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감미료가 국가마다 다릅니다. 미국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는 액상과당을, 멕시코나 유럽등은 사탕수수 설탕을 감미료로 사용합니다. 한국은 액상과당과 설탕을 함께 사용합니다.물 또한 차이가 있습니다. 콜라의 90%이상은 물로, 각국의 보틸링 공장은 현지의 물을 정수 처리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물에 포함된 미네랄의 함량이나 경도가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따라서, 감미료와 물의 차이로 맛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하겠습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일본 소설 특유의 감성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질문자께서 말씀하신 '여러 잡신에서 오는 다양한 오켈트 소재'는 분명하게도 일본의 탐정, 스릴러와 같은 작품의 한 축을 담당하는 소재이기는 하지만 모든 것은 아닙니다. 일본 의 탐정, 스릴러와 같은 작품의 다양한 문화적 기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① 야오요로즈노마키(八百万の神): 세상의 모든 것에는 신이 깃들어 있다는 뜻으로, 애니미즘의 일본 버전이라 하겠습니다. 신이나 요괴, 원령 등은 인간 세상과 멀리 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우리 바로 옆에 존재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는 상식과 비상식의 경계를 허물며 평범한 공간을 기괴한 사건의 무대로 전환시켜 줍니다. ② 사회파 미스터리: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엄청난 속도로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지만, 그 과정에서 수많은 부작용이 발생하였습니다. 도시와 시골의 격차, 빈부 격차, 정치/재계의 부패, 대기업의 비리 등이 그러한 부작용들이며, 이러한 면들이 스릴러의 주요 배경이 됩니다. 또한, 치열한 경쟁 사회 속에서 느끼는 개인의 고독, 좌절, 소외감 등이 점죄의 동기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③ 혼네(本音, 속마음)와 다테마에(建前, 겉으로 보이는 모습): 모든 등장 인물은 친절하고 예의바른 '다테마에'를 가지고 있지만, 그 뒤에 끔찍한 '혼네'를 숨기고 있습니다. 주인공은 이 가면을 벗겨내며 진실을 밝혀냅니다. 또한, 마을 전체가 '다테마에'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외부에서 온 주인공이 맞서 싸우게 되는 거대한 위선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④ 집단주의와 세켄(世間, 체면)의 압박: 개인이나 가족, 회사의 체면(세켄)이 훼손되는 것을 막기위해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건을 은폐하는 경우가 많은 소재로 등장하며, 집단에 융화되지 못한 개인을 따돌리는 이지메, 마을에서 없는 사람 취급을 하는 무라하치부 문화 등도 작품에 많이 등장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합쳐져서 일본의 탐정, 스릴러 소설의 독특한 분위가 만들어진다고 정리해볼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영어) 절과 문장의 관계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문장(sentence): 하나의 완전한 생각을 나태내어, 그 자체로 말이 되며, 마침표(.) 로 끝낼 수 있음.절(clause): 문장을 만드는 재료로, 주어+동사의 구조를 가지며, 문장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만약, 혼자서 완전한 생각을 전달 할 수 있다면 문장(주절)이 되고, 그렇지 못하면 문장이 될 수 없음(종속절).예를 들어 보겠습니다.I searched internet. (나는 인터넷을 검색했다): 혼자서 완전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또한 주어+동사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하서 위의 문장은 절인 동시에 문장입니다.because I wondered something (왜냐하면 나는 무언가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주어+동사의 구조를 가지므로 절입니다. 그러나 혼자서 완전한 의미를 나타낼 수 없으므로 문장은 아닙니다. 이처럼 (종속)접속사에 의해 유도되어 주어+동사의 구조를 가지고, 다른 문장의 한 부분이 되는 절을 종속절이라고 합니다. 종속절은 다시 부사절과 명사절로 나뉩니다.위의 두 절을 합치면,I searched internet because I wondered something. (나는 무언가가 궁금했기때문에 인터넷을 검색했다)이 구조는 {[주어+동사]+[접속사+주어+동사]}로 도식화 될 수 있는데, 이때 앞의 주어+동사는 절인 동시에 혼자서 온전한 뜻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문장입니다. 그러나 뒤의 주어+동사는 절이긴 하지만, 혼자서 온전한 뜻을 전달할 수 없고, 앞의 주어 동사와 합쳐져야만 온전한 뜻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문장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렇게 합쳐져서 하나의 의미망을 형성하는 문장을 복문(complex sentence)이라고 말합니다. 결론적으로, 주어+동사의 구조를 가지며, '혼자서 하나의 완전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가'라는 조건을 만족하면 문장, 그렇지 못하면 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