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이 아세안이랑 고위급 회동 자주 갖는 게 미국 관세 압박 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중국도 미국과 같이 패권국의 지위를 차지하고 싶어하며, 패권국이 되기 위해서는 동맹국과 우군들이 확실하게 있어야 합니다. 아세안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국가이며, 중국과 화교의 영향력이 제법 있는 국가들이면서 개발도상국들로 유망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반드시 미국의 관세 및 무역분쟁만으로 회동을 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이러한 부분이 기폭제가 되어 더욱 더 중국의 영향력이 커질수 있도록 여러 조치를 하는 것으로 보엽니다. 실제로 중국과 아세안은 FTA도 체결되어 있으며, RCEP이라는 메가 FTA협정도 체결되어 있는 만큼 현재 보유한 위험을 회피 또는 분산하기 위한것임은 분명해보입니다.감사합니다.
Q. 탄자니아에서 K-뷰티가 성장세라지만 위조품 문제는 어떻게 돌파할 수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아프리카는 아직 미개척 국가로서 장기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일수 있는 유망한 곳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아직 소득수준이 낮다보니 가격이 너무 높으면 시장점유율을 잡기는 쉽지 않은 부분이 있습니다.또한, 이러한 개도국의 경우 기존 제품을 카피한 위조품들이 판칠수가 있으며 생각보다 정교하게 생산되어 유통되므로 해당 브랜드 제품의 신뢰성을 낮추는 아주 좋지 않은 부분입니다. 따라서, QR 코드 및 정품 인증제품인 것으로 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아직 소득수준이 높지 않기에 중산층과 그 이상을 타겟팅하여 시장을 천천히 잡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보여집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