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김지훈 전문가
바른삼성정형외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테니스 엘보는 어느정도 물리치료 기간이 필요 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테니스엘보는 물리치료기간은 개인의 증상정도 치료반응 습관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4~6주정도 소요됩니다물리치료가 중요한이유는 염증완화와 통증감소에 효과적이고 손상된 부위 주변근육을 강화하여 재발을 방지합니다 또 굳어진 관절을 부드럽게 만들어집니다 종류는 초음파치료나 전기자극치료 온열치료 스트레칭및 강화운동이 있습니다팔꿈치 사용을 줄이고 휴식을 취해주고 위와같은 다양한 치료를 통해 회복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다리 스트레칭을 하면 키가 조금이라도 더 커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성장판은 우리몸의 뼈가 자라는 부위인데 성장이 끝나면 닫혀 더이상 자라지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18~20세사이에 성장판이 닫히기 때문에 26세라면 이미 성장판이 닫혀서 더자랄 공간이 없습니다 뼈는 단단한 조직으로 스트레칭을 통해 늘어나거나 길어지지않습니다 스트레칭을 통해 느껴지는 키의 변화는 일시적인 것으로 척추가 펴지면서 키가 잠깐 커보이는 효과일 뿐입니다스트레칭을하면 구부정한 자세로 인해 짧아보이는 키를 바르게 펴주어 키를 더 커보이게 할수있고 몸의 유연성을 높여서 활동성을 향상시켜줍니다 또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하고 피로를 해소합니다결론은 성장판이 닫힌 성인에게 스트레칭은 키를 키우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않지만 스트레칭을하면 더 커보이는 효과를 보일수는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무릎이 너무 아파서 정형외과 다녀왓어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통증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정도로 심하거나 관절기능이 현저히 저하된경우 수술울 고려할수있고 연골손상은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기때문에 관절경수술등을 통해 손상된 부위를 치료해야합니다 인대파열등 다른질환이 함께 발생한경우 수술을 통해 손상된 부위를 복원해야합니다무릎 바깥쪽 통증의 원인은슬개골 외측증후군 무릎뼈가 바깥쪽으로 쏠리면서 연골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통증이고 반월상연골판손상으로 무릎관절 안쪽에 있는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통증도 생깁니다 또 무릎을 삐끗하거나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인대가 손상되기도합니다병원에 방문하여 의사에게 증상을 자세히설명하고 물리치료를 통해서 근력강화 유연성향상 통증완화를 해야합니다 또 수술을 하게되면 3군대정도의 대형병원에가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일을하거나 일상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칭을할때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잠에서 깨어나 몸이 굳어있는 상태에서 가볍게 스트레칭해주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하루를 개운하게 시작할수있습니다 장시간 앉아서 일해야하는경우 업무를 시작하기 전에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몸을 풀어주면 집중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30분~1시간 간격으로 자리에서 일어나 가볍게 스트레칭을 해주면 피로를 해소하고 근육경직을 예방할수있습니다 운동전에는 근육을 따뜻하게 해주고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운동후에는 근육회복을 돕기위해 스트레칭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근육이 긴장되었을때는 오랜시간같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운동후 근육이 뭉쳤을때 스트레칭을 해주면 근육을 이완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 스트레칭은 긴장을 완화하고 심신을 안정시키는효과가 있어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됩니다개인의 건강상태나 체력에 따라 적절한스트레칭과 강도는 달라질수있으니 주의해서 해주시길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왜 비 오는 날에는 관절이 쑤신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기압변화로 인해 비가 오면 기압이 낮아지는데 이러한 기압변화가 관절내 압력에 영향을 미쳐 통증을 유발할수있습니다 마치 풍선을 눌렀다 뺐을때 내부압력이 변하는것처럼 낮아진 기압은 관절 내 압력을 높여 관절 주변조직을 자극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가 오면 습도가 높아지는데 높은 습도는 관절 주변조직의 붓기를 유발하고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습도가 높아지면 관절 윤활액의 점도가 변하여 관절 운동시 마찰이 증가하고 통증을 만듭니다노화는 관절 연골의 마모와 함께 관절 주변조직의 퇴행을 가져오기 때문에 비오는날의 통증을 더욱 심하게 느낄수있습니다 특히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비오는 날 더욱 심해지는것을 경험할수있습니다비는 단순히 습도와 기압을 변화시키는것뿐만아니라 우리몸의 신경전달물질에도 영향을 미쳐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높일수있다는 연구결과도있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장시간 앉아있을때 허리의 건강을 위해서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바른자세를 유지해야합니다의자높이조절 무릎이 90도가 되도록 의자높이를 조절하고 발이 바닥에 편안하게 닿도록합니다 허리 곡선을 유지할수있도록 허리받침대를 사용하는것도 좋습니다 어깨를 펴고 가슴을 펴는자세를 유지합니다 또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추고 고개를 숙이지않도록합니다또 30분~1시간마다 자리에서 일어나서 가볍게 스트레칭해줍니다 허리비틀기 다리펴기 등 간단한 스트레칭도 해주면 좋습니다 틈틈이 자리에서 일어나 짧게 산책을 해도됩니다코어근육을 강화야여 허리 복근 골반주변근육을 강화하도록 운동을 해주면 좋습니다운동으로는 플랭크 브릿지 런지등을 해주시면 더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왼쪽발등 복숭아뼈앞쪽으로덩어리가잡히며 통증이있는데 무슨증상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가능한원인을 유추해보자면건막염 발바닥을 지지하는 건막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기도하고 특히 장시간 서있거나 걸을때 또는 딱딱한 신발을 신었을때 통증이 심해집니다신경포착 발등을 지나는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이 발생할수있습니다근육이나 인대손상 발등주변의 근육이나 인대가 손상되어 덩어리처럼 만져지고 통증이 발생할수있습니다드물게 뼈가 돌출되어 덩어리처럼 만져지기도합니다일단 엑스레이나 초음파를 해서 뼈의 이상유무나 덩어리의 크기나 성질을 확인해야합니다병원에 갈수없다면 발을 심하게 사용하는 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히 휴식을 취해주고 붓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시켜주세요 또 소염진통제같은것이 있으면 드셔도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어머님 이 눈길에 미끄러져서 오른쪽 손목이 부었는데요 현재 크게 통증은 없으신데 온찜질이 도움이 될까 요 냉찜질이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냉찜질은 붓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부상직후에는 냉찜질이 더욱 중요합니다 얼음팩이나 차가운 물수건을 수건으로 감싸 손목에 15~20분간격으로 20분씩 대어줍니다 피부가 빨갛게 변하거나 감각이 이상하면 즉시 중단합니다손목을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안정시켜야합니다 손목을 부드러운 천이나 팔걸이등으로 지지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손목을 사용하는 활동을 자제합니다겉으로 보기에는 괜찮더라도 내부손상이 있을수있습니다 특히 고령이시고 기저질환이 있으시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셔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것이 좋습니다현재는 냉찜질이 우선이며 온찜질은 염증이 가라앉고 통증이 완화된후에 하는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무릎 연골판 절제술 후 관리요령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의사랑 정지적인 상담을 통해 수술부위의 회복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를 받는것이 중요합니다개인의 상태에 맞는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무릎관절의 기능을 회복하고 강화해야합니다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관절에 부담을 줄수있으므로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운동강도와 종류를 조절해야합니다과체중은 무릎관절에 부담을 증가시키므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것이 좋습니다1년이 지나도 통증이 발생하는이유는 수술부위에 염증이 남아있거나 새로운 염증이 발생합니다 연골판절제술후 다른 연골에 손상이 발생할수있습니다무릎연골판 절제술후 완벽한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꾸준한 관리와 재활을 통해 통증을 줄이고 일상생활을 회복할수있습니다 의사와 상담을 꼭 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승모근인줄 알았는데 날개뼈입니다. 어떻게 해야 없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날개뼈가 튀어나와 보이는이유는 승모근 능형근 등 날개뼈 주변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날개뼈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보일수 잇습니다 특히 앞쪽 가슴근육이 짧아지고 등 근육이 약해지면 날개뼈가 앞으로 튀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합니다구부정한 자세 목을 앞으로 빼는 자세등 잘못된 자세는 날개뼈를 틀어지게 만들고 근육 불균형을 야기할수있습니다특정 운동을 과도하게 하거나 잘못된 자세로 운동할경우에도 날개뼈 주변근육에 무리가가고 날개뼈가 튀어나와 보일 수 있습니다 선천적인 기형이나 다른 질환으로 인해 날개뼈가 튀어나오는경우도 있습니다일단은 정형외과에 가셔서 엑스레이를 찍어보고 정확한 문제를 파악하는것이 중요해보입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