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 어떤 것들이 시정조치 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남북한 모두 비핵화 로드맵과 군사적 위협 감소 노력에 대한 투명성을 높여야 합니다. 특히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검증이 필수적이며, 남한 역시 군사 훈련 등에 대한 북한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고위급 회담, 언론 등을 통한 상호 비방과 적대적 언행을 중단하고, 불필요한 군사적 도발을 자제하여 상호 신뢰의 기초를 다져야 합니다. 일회성 행사나 지원이 아닌, 남북 간의 경제, 사회, 문화 교류를 위한 법적, 제도적 틀을 마련하여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투명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군사 당국 간, 통일 당국 간, 그리고 정상 간 상시적인 대화 채널을 복원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핫라인을 재가동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Q. 중국이 망하면 한국 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중국경제가 베네수엘라 이상으로 망해버린다는 극단적인 시나리오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만약 현실화된다면 한국 경제에는 상상 이상의 재앙적인 충격이 올 것입니다. 역사적 관계와는 별개로 경제적으로 중국은 한국에게 가장 중요한 교역 대상국이자 생산 기지, 소비 시장이기때문입니다.2024년 기준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전체 수출총액의 19.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과거에는 26%까지 달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경제가 붕괴하면 이 거대한 수출 시장이 사라지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역사적 감정을 차치하고 현실적인 경제 관계만 놓고 본다면 중국 경제의 베네수엘라 이상의 붕괴는 한국 경제에 상상할 수 없는 규모의 치명적인 타격을 입힐 것입니다. 수출, 금융, 내수 등 거의 모든 경제 지표가 급락하고 사회 전반에 심각한 혼란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Q. 인도 경제는 왜 성장률이 높은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인도는 최근 몇 년간 매우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세계 경제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질주하는 코끼리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인데요. 이러한 높은 성장률의 배경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겠습니다.인도는 2023년 중국을 제치고 세게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가 되었습니다. 이는 거대한 내수 시장을 형성하고 풍부한 노동력을 제공합니다.중위 연령이 2023년 기준으로 28.2세로 중국(39세)보다 10년 이상 젊은 인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인도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다른 국가들과 달리 내수 소비가 경제 성장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특히 IT 서비스,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천연자원과 농업자원 등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이유들도 있겠습니다.물론 인도 경제가 모든 면에서 순탄하게 성장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복잡한 노동 규제, 비공식 부문의 비중, 인프라 격차, 고용 창출의 한계, 교육의 질적 문제 등 해결해야할 과제들도 많습니다. 특히 제조업의 성장 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거대한 잠재력과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