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의 고용은 왜 침체우려속에서도 늘 견고한모습을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고용 시장이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견고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며, 단순히 통계의 문제가 아니라 산업 구조의 복원력과 변화, 그리고 노동 공급 측면의 특성이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는 이미 오랜전부터 서비스업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의 빅테크 기업들이나 제조업 분야에서 감원이 발생해도, 전체 고용 지표는 크게 흔들리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건, 교육, 레저 및 접객, 소매업 등 서비스업 부문에서 꾸준히 신규 고용이 창출되고 있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서비스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는 관련 업종의 일자리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IT 분야 외에도 건설업, 정부 부문 등에서도 고용이 증가하는 등 고용 증가가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Q. 자본성증권 콜옵션이 도래했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자본성증권 콜옵션이 도래했다'는 말은 쉽게 말해, 보험사가 과거에 발행했던 '자본성증권'을 정해진 시점에 다시 사들일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때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보험사가 콜옵션을 행사할 법적인 의무는 없지만, 시장에서는 발행사가 콜옵션 시점에 증권을 조기 상환해주는 것을 관례처럼 여기고 있습니다. 만약 보험사가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고 상환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그 보험사의 신용도가 나빠질 수 있고, 나중에 돈을 빌리거나 투자자를 모을 때 더 높은 금리를 줘야 하거나 아예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콜옵션 시점이 오면 보험사는 보통 기존 증권을 상환하고, 비슷한 조건으로 '새로운 자본성증권을 다시 발행'해서 자본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Q. 중국은 풍요로운 독재를 유지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중국식 모델은 기본적으로 경제적 번영을 통한 정권의 정당성 확보에 기반해 왔습니다. 즉, 공산당은 정치적 자유를 제한하는 대신, 압도적인 경제 성장을 통해 인민들에게 '풍요로운 삶'을 제공함으로써 통치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를 얻어왔습니다. 중국 경제는 과거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이제는 4~5%대의 중속 성장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 지방 정부 부채, 소비 위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 국민에게 제공할 '풍요'의 규모가 줄어들고, 이는 공산당 통치의 정당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사회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경제 성장률을 8%로 상정한다고 보는 분석도 있었던 만큼, 현재의 성장률은 도전적입니다.
Q. 유럽경제는 왜 정책보다 합의에 시간을 많이 소요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유럽연합은 정책 결정에 있어 미국에 비해 훨씬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이는 연합체의 한계이자 구조적인 특징에서 비롯됩니다. EU는 27개의 독립된 주권 국가들의 연합체입니다. 각 회원국은 자체적인 경제 상황, 정치적 이해관계, 사회적 가치, 그리고 국민적 정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정책을 결정할 때는 이 모든 회원국들의 합의를 이끌어내야 하므로, 개별 국가들의 이견을 조율하고 타협점을 찾는 데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세금이나 외교, 안보와 같은 민감한 분야에서는 만장일치 원칙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 합의 도출이 더욱 어렵습니다. EU의 정책 결정 과정은 매우 복잡합니다. 주요 기관으로는 유럽 집행위원회, 유럽의회, 유럽연합 이사회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유럽 정상회의, 유럽사법재판소 등 다양한 기관들이 상호 작용하며 정책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