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자산을 키우는 사자팔자입니다. 조장우 전문가입니다.
자산을 키우는 사자팔자입니다. 조장우 전문가입니다.
조장우 전문가
누리부동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선거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선거는 부동산 경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어떤 당에 따라서 혹은 어떤 후보자에 따라서 부동산 경기를 활성화 시킬지 혹은 부동산 경기를 침체 시킬지에 따라 가격은 매우 크게 달라집니다.기본적으로 부동산 경기를 활성화 함에 따라서 그 정책방향도 달라지기 때문에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경매나 공매를 할때 냈던 보증금은 낙찰을 받은 후 잔금을 치르지 않으면 돌려받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만약 경공매에서 입찰보증금으로 냇던 금액은 만약 낙찰받아 잔금을 치루지 못하게 될 경우 받지 못하게 됩니다. 쉽게 예를들어 계약을 했지만 계약 파기 혹은 잔금을 내지 못할 경우 계약파기로 인해 계약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전세자가 있는 아파트를 구매할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전세세입자가 있는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경우 갭차이를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다음 세입자를 구할때에 전세금이 상승하거나 전세입자의 전세금만큼 받을 수 있다면 충분히 투자를 고려해도 되나 만약 다음 세입자를 구할 때에 전세금이 낮아지거나 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세입자를 구했다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만일 전세세입자를 구하지 못할 경우에는 매매했던 부동산에 대해 경매물건으로 나올 수도 있으니 갭투자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20일 작성 됨
Q.
금리가 인상되면 부동산 대출 금리도 따라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대출금리는 개인의 신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여러 요소가 더해져 최종적으로 대출금리가 결정됩니다.우선 크게 모든 금리에 기준이 되는 ‘기준금리’, 여기에 은행에서 비용과 수익 등을 합친 ‘가산금리’, 그리고 부수적으로 조정되는 ‘가감조정금리’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특히 이 기준금리라는것이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금리가 올라가게 되고 그만큼 대출금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일반적인 금리 인상이라는 것은 그 이상으로 대출금리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월세 계약 2년을 마치고 나갈때는 법적으로 언제 나간다고 이야기를 하고 준비를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약 3개월 전에는 임대인에게 말씀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물론 그 전이라도 무방하나 2개월 이내 혹은 계약만료전에 말할 경우 계약갱신이 될 수 있거나 혹은 보증금을 제때못받는 등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부동산 전세사기 가장 흔한 사례 한두개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전세사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보통 명의빌려주기가 많습니다. 전세가와 매매가를 비숫하세 맞추고 명의만 빌려 소유권을 넘겨 매매가가 하락하게 되면 돌려줄 역으로 전세가가 더 높기 때문에 전세금을 온전히 못돌려주거나 새로운 세입자를 구해야하나 사실 다시 전세금을 받기어려울 수 있어서 결국 경매로 넘어가 전세금을 못돌려받는 경우입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지번은나와있는데 실제장소가표시안됨?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번지수 나오면 네이버지도 및 부동산 어플등을 활용하여 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지번이 나왔다는것은 지적도 상에도 표시되고 지도상에도 표시 될 듯 합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19일 작성 됨
Q.
큰아파트를팔고작은아파트와원룸을구입하면어떨까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지역에 따라다르지만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를 전세나 월세등으로 임대를 놓고 새로 임대하여 작은 평수에 들어가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반드시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를 매도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임대를 놓고 새로 임대를 들어가는 등으로 그 임대료 차이를 생각하여 지내는 것도 임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한 방법이라고 보여집니다. 보통 부동산의 경우 매도 하는것 보다 임대를 놓은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건물의 소유주와 토지의 소유주가 다를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토지소유주가 반드시 건물소유주여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이전부터 건물을 지어서 이어진 경우도 있으며, 보통의 경우 토지를 임대하여 건물을 짓고 이를 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일정계약 기간 후에는 이를 철거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영구적인 건축물 보다는 토지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계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평생 건축물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으면 평생 지급해야합니다. 다만, 계약이 끝나고 건축물 철거시에는 임대료 지급이 중단되고 철거비용또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3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가계약금은 보통 실제 가치의 10%로 정해지나요? 그리고 가계약에 특약도 넣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가계약금의 경우 보통의 계약금 10%보다 더 적은 돈으로 가계약금을 할 수 있습니다. 특약을 넣기보다는 보통 가계약의 경우 계약금 보다는 훨씬 적은 금액으로 가볍게 찜해 놓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특약의 경우에도 계약시 넣는 것이 맞으며 가계약의 경우 부동산을 본 후 계약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해 보일때 하면 좋습니다. 만약 계약금이 500만원인데 가계약의 경우 10만원 20만원 정도로 해도 무방하기 때문입니다.
216
217
218
219
2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