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류형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전문가입니다.
류형식 전문가
류형식 노무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1월1일 연차갯수, 사회초년생 연차발생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계속근로기간 1년 미만 동안 매월 개근으로 발생한 연차휴가는 2024.09.30.까지 휴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2024.10.01.에 발생한 연차휴가 15일은 25.09.30.까지 휴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휴가의사용촉진이 아닌 한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근로자의 연차휴가를 강제로 사용토록 할 수는 없습니다.
휴일·휴가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근로 계약서에 휴가에 대한 이야기가 없으면 휴가 갈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질문자님의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에 해당한다면,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법정 휴가에 해당하므로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연차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야간경비 급여계산 해 주실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1일 휴게시간을 제외한 실 근로시간이 5시간에 해당하고, 야간근로(22시~06시, 휴게시간 제외 근로시간)는 3시간에 해당합니다.이에, 감시단속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월 유급시간이 약 98.9시간이며, 일반 근로자 기준으로는 약 109.8 시간으로 산정되므로 해당 시간에 약정시급 등을 곱하여 월급여를 산정하시면 될 것으르 보입니다.
휴일·휴가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한 주만 15시간 이상 근무하기로 한 경우 주휴수당을 못 받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실 근로시간이 기준이 아닌 애초에 근로계약서 등에 근로하기로 정한 소정근로시간이 1주 15시간 이상에 해당 되어야 하고 소정근로일을 모두 개근한 경우 발생하므로, 특정 주의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에 해당되었다고 하여 주휴수당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휴일·휴가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결근이 인정되는 사유와 인정이 안되는 사유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근로자의 개인적 사유에 의한 무급휴가 등에 대한 질의로 보입니다. 다만, 이러한 무급휴가의 허용 여부는 법으로 정하고 있지는 않기에 사용자의 재량으로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등에서 정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질병휴가의 경우 진단서 등을 제출한 경우 00일을 부여하며, 이를 유급 또는 무급으로 한다'는 등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776
777
778
779
7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