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작은일에도 기분이 급격히 오르내려서 힘이 드는데 조울증 초기 신호일 수 있을까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평가가 필요합니다)만약 수면 시간의 변화, 에너지/자신감/의욕 등의 변화, 말의 양이나 크기/자기 주장 정도의 변화/대인관계의 트러블 등이 동반된다면... 조울증 가능성이 높겠지만, 말씀하신 내용으로는 조울증 초기 증상과의 감별은 어려울 듯 합니다 단지, 원래 감정의 기복이 심했거나(중고등학교 부터 쭉~), (여성이시라면) 생리 기간에만 나타나는 경우라면, 조울증 보다는 성격이나 생리적 영향이 더 클 것 같기는 하고요
Q. 하루수면시간이 얼마를 자야푹잤다고하나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평가가 필요합니다)낮 동안의 졸림이나 피로감, 집중력 저하가 없다면수면 시간에는 크게 신경쓰실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우선 낮잠을 줄이고, 수면 환경(온도, 습도, 빛, 주변 사람 등등), 야간에 티비/휴대폰 등은 피하시는 것 , 각성 효과가 있는 커피/차/술/담배 등은 피하시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Q. 악몽때문에 너무..힘이듭니다 입원치료 말고 다른방법있을까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평가가 필요합니다)검진 결과를 가지고 , 정신건강의학과 의원이나 병원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우울증이나 불안증 등으로 인해 수면장애(악몽 등)가 동반되는 경우 등이 자주 있고 스트레스가 심하면, 현실에서 혼란 스러운 느낌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꼭 입원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절박한 자,타해 우려나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지 않다면) 약물을 서서히 증량해 가면서 치료를 시도해 볼 수도 있을 듯 하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드립니다
Q. 밤에 자주 깨는 불면증 증상이 있는데 수면 환경 개선 방법이 있나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평가가 필요합니다)글세요... 뭐가 수면을 방해하는지 확인하고 , 그를 교정하는 것이 최선이긴 합니다 침실의 온도, 습도, 소음, 조명, 동거인의 잠버릇, 야간의 음주 / 흡연 , 코골이(혹은 수면 무호흡) , 야간뇨 등등이 대표적이긴 하고 , 수면전에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스트레칭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