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근로자부담 국민연금 둘 중에 어떤 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국민연금 근로자 부담금은 원칙적으로 '10원 미만 절사'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즉, 87,742.44원은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다시 10원 미만을 절사하여 87,740원으로 처리하는 것이 맞습니다.따라서 (B) 87,740원이 정답이며, (A) 87,742원은 잘못된 처리입니다. 다만 사업장에 따라 내부적으로 다르게 적용하는 사례가 간혹 있어 실제 급여명세서를 확인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Q. 주휴수당이 얼마나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주 5일 10시간씩 근무한다면 주 소정근로시간은 50시간으로, 법정기준인 주 40시간을 초과하므로 주휴수당은 8시간 기준으로 발생합니다.주휴수당은 1주일 개근 시 1일분의 소정근로시간에 해당하는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는 제도이며, 1일 10시간 근무자라도 주휴수당은 최대 8시간까지만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시급이 10,000원이라면 주휴수당은 10,000원 × 8시간 = 주 80,000원이 됩니다. 월 단위로 환산하면 약 347,600원(8시간 × 10,000원 × 4.345주)입니다.
Q. 건당 아르바이트 고용하려고하는데 근로계약서를 어떻게 써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쇼핑몰 업로드 아르바이트라도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방식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고용보험 가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건당 수당을 지급하더라도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며, '임금: 1건당 ○○원, 지급일: 매월 ○일' 등으로 기재하면 됩니다. 다만 업무 수행 방식이 전적으로 자유롭고 결과물만 납품하는 방식이라면 위임계약 또는 도급계약에 가까워 근로자가 아닐 수 있습니다.고용보험은 근로자일 경우 가입 의무가 있으며, 특고·프리랜서로 분류되면 의무가입 대상은 아닙니다. 업무형태를 다시 한번 검토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