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성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전문가입니다.
이성필 전문가
노무법인 바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주7일 4시간 시급 11000원 알바비 얼마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주 소정근로일을 개근하였다면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주7일 4시간 근로한다면 (주 28시간 + 주휴시간인 28시간 / 40시간 x 8시간) 4.345주로 월 소정근로시간 도출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시급 11,000원을 곱하시면 월급이 도출됩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요즘 알바 구하기가 너무 힘든것같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폐업하는 사업장 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 등 정부 지원을 받으며 구직활동이 가능하므로 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해고·징계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수습 기간 중 구두해고 가능한 가요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월 급여가 300만원 미만이라면 국선노무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녹음한 해고 통보 이후에 해고일자 등을 서면으로 작성하여 해고하였다면 절차상 부당해고로 볼 소지는 없어 보입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이중 취업 관련 문의(투잡 세금 문제 등)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고용보험은 이중가입이 제한되어 월 보수가 더 높은 본래 직업에 가입되어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건강보험 등은 이중가입되나 이는 근로자만 아는 사정이라 4대보험 가입해도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임금체불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재질문) 시급 11000원 지급시 최저시급 위반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주휴수당 및 연장근로수당 미지급은 2개월 이상 임금체불에 해당하므로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을 먼저 넣으시기 바랍니다.
근로계약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퇴사후 계약직 근로시 실업급여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이직일 이전 18개월동안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고 이직사유가 기간만료 등 비자발적인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20년 근로한 곳에 퇴직한 뒤 18개월 내에 1개월 이상 근로계약 체결한 뒤 기간만료로 퇴사 시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임금체불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프리랜서기간 근로자로 인정 받은 후 실업급여 신청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근로복지공단에 피보험자격확인청구를 하여 프리랜서 기간에 대해 고용보험을 소급하여 가입한 뒤 실업급여 신청을 하시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임금·급여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주휴수당은 일주일 근로시간 15시간 이상만 채우면 무조건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주 소정근로일을 개근하였다면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주6일 근로하기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다면 소정근로일인 6일을 개근하여야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사용자와 주5일로 변경하여 근로계약서를 새로 작성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해고·징계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부당해고 화해권고회의 합의금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화해권고회의는 화해를 중재하는 공익위원과 대면하고 상대방과는 대면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해고기간의 임금상당액 내에서 화해가 이루어집니다. 1개월 추가 금전보상은 법적 근거가 무엇인지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휴일·휴가
2025년 4월 5일 작성 됨
Q.
원래 주6일 근무하는 병원입니다! 휴일근무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ㅠ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3월 1일 및 3월 3일 모두 관공서의 공휴일에 대한 규정에 따라 법정공휴일로 인정되기 때문에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휴일근로수당을 각각 지급해야 합니다. 임금체불의 소지가 있습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