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2월 28일 작성 됨
Q.
19개월 아기 언어발달 평균적으로 잘하는걸까요?
19개월 아이의 언어발달이 정상적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보통 20개월 가량 되면 약 50개 정도의 낱말을 구사합니다. 엄마가 말하는 단어를 따라하기도 하고 2~3단어를 결합해서 문장으로 말하게 됩니다. 질문자님의 아이 같은 경우 정상적인 언어발달로 보여집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28일 작성 됨
Q.
말을 할줄 아는 아기도 자다 성장통이오면 울기만 하나요..?
31개월 된 아이가 새벽에 2~3번 깨서 울음을 터뜨리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들이 자다가 깨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습니다. 성장통일 수도 있고낮에 놀라거나 했던 일이 생각나서 울기도 합니다.때로는 무서운 꿈을 꿨을 때도 자다가 깨어나서 울 때도 있습니다.아이가 밤에 자다가 깨어나서 울면간접등을 켜두고 아이가 안정을 취하고 다시 잠이 들 때까지 안아주면 도움이 됩니다.성장통인 경우에는 성장판이 있는 무릎, 발뒷꿈치 주위를 마사지해주면 통증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자는 방은 암막커튼을 이용해서 모든 빛을 차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숙면에 적정한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28일 작성 됨
Q.
짜증을 내고 불평을 내는 아이, 어떻게 이런 감정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짜증을 내고 불평을 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이의 감정을 어떻게 다루는 것이 좋을지 궁금한가봅니다. 초등학교 5학년이라면 사춘기에 접어든 시기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가급적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컨디션이 괜찮을 때 대화를 시도하면 될 것 같습니다.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28일 작성 됨
Q.
명절이나 집에 오신 손님이 아이들에게 용돈을 줍니다. 5세 아이에게 언제 돈에 대한 개념을 알려주는 것이 좋을까요?
유아기부터 경제개념을 키워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렇게 해야 아이가 돈의 소중함을 알고 경제적인 규모를 갖추게 됩니다.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는가장 우선적으로 돈이 무엇인지를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https://tv.naver.com/v/25514775아이에게 캐릭터 용돈기입장을 선물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기록해보면서 용돈이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또 아이에게 용돈이 생겼을 때 아이 손을 잡고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줍니다.용돈이 생길 때마다/ 아이가 저축을 하고자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은행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저축하는 것을 도와준다면아이의 저축하는 습관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아이가 어리다면 시장놀이, 은행놀이를 하면서 경제개념을 키워줄 수도 있습니다.다양한 보드게임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28일 작성 됨
Q.
아이와 마트에 가서 사달라는거 다 사주나요?
아이와 마트에 가서 떼를 쓸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와 마트에 가기 전에 계획은 미리 이야기하고그러고도 떼를 쓴다면 단호하게 대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마트에 가는 목적을 말해줍니다.그런 후에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쓴다면단호하게 '오늘 마트에 장난감을 사러 온게 아니잖아'라고 말하며 자리를 떠납니다.보통 이렇게 하면 울고 떼를 쓰다가도 동태를 살피며 따라오기 마련입니다.그리고 집으로 돌아와서 아이가 안정이 되면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마트에서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다음에는 마트에 가서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 쓰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또래와 어울리지 못할 때 부모가 해야 할 대처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아이가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할 때 어떻게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을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양육자가 모범이 되어주는게 좋습니다.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렸을때 이중언어교육하면 좋은점은?
이중언어 사용의 장점이 무엇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정신적 유연성 향상, 문제해결능력(분석적 사고, 다국어 관점) 향상, 공감과 의사소통능력 향상, 기억력 향상등이 장점이라고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겨울방학 과제 많이 있나요?
방학 과제는 학교마다/ 담임선생님마다 차이가 있겠습니다. 보통은 일기, 독서록은 필수 과제이고여러 개 중에서 2~3가지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과제도 있습니다. 초등학교 겨울방학 숙제인만큼 그렇게 난이도가 높지는 않습니다. 부모님이 지도해주는데 큰 어려움은 없는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2학년 딸아이 학원에서도 집중을 못한다고 연락이 왔는데 어떻게?
초등학교 2학년 딸 아이가 집중을 잘 못한다는 말을 들으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집중력은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관심을 갖고 길러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독서 습관을 길러준다면 아이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잠들기 전에 책을 읽어주고 도서관에 가서 책도 읽고 대출을 해오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아이의 집중력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집중을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보기 전에 아이의 생활패턴을 체크해야 합니다.아이가 좋아하는 놀이가 무엇인지를 관찰해보면 아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를 할 때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합니다.아이와 작은 약속을 했더라도 잘 지켜주세요.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선택권과 책임을 아이에게 부여해줍니다.아이에게 건강한 신체리듬을 만들어주세요.(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집안 환경을 차분한 느낌으로 정돈해주세요.(아이가 공부할 때 TV보지 않기)
유아교육
2024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자녀 티비시청시간을 어느정도 해주는게좋나요?
자녀의 티비 시청 시간을 어느정도 해주는게 좋은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연령별로 하루 미디어 시청 적정 사용시간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만0~2세: ~30분/1일만3~5세: 30분~1시간/1일만6세~12세: 1~2시간/1일만13~18세: 2시간/1일이라고 합니다.스마트폰과 같은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따라서 양육자가 적절하게 관리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371
372
373
374
3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