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직확인서가 반려되었어요. 희망퇴직인데 실업급여를 받을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근로자님.제가 볼 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고용보험코드 정정 신청서를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하여, 실업급여 코드 바꾸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지지부진한 분쟁을 거쳐야 해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립니다.다음으로는 1개월 이상 계약직을 근무하는 것입니다. 1개월 이상 계약직 근무를 하면 계약기간만료에 의한 퇴사가 되기 때문에, 실업급여 수급이 됩니다. 다만 이때는 평균임금이 1개월 계약직 임금이 포함되기에 실업급여 수급액이 적어질 수 있습니다.시간을 희생할지, 수급액을 희생할지 근로자님의 선택에 달린 듯합니다.다만 근로자님께서 적어주신 내용만 가지고 답변을 달기에는 정보가 너무 적습니다. 근로자님께서 놓치신 근로자님에게 유리한 사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가까운 노무사 사무실을 방문하셔서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노동법률사무소 필화, 염상열 노무사 드림
Q. 연차사용 눈치주는 경리 신고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근로자님.다소 신고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연차를 당겨쓴다는 것은 신입은 연차가 매월 1개씩만 부여되는데, 1개 이상을 쓰신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혹시 맞으실까요? 만약에 맞다면 당겨 쓴다고 지적하는 것은 직원의 연차를 관리하는 인사관리자로써 경리직이 해야 하는 업무입니다.다음으로 연차는 입사연도 기준, 회계연도 기준으로 합니다. 전자를 기준으로 하면 연차는 6월에 발생하고 후자를 기준으로 하면 연차는 1월에 발생합니다. 경리분께서는 회사 연차는 회계연도 기준으로 하기에 6월이 아니라 1월에 연차가 발생한다고 안내한 것으로 보입니다.제가 볼 때 경리직원은 본인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직무와 관련된 부분은 직장내괴롭힘 등이 아닙니다. 설사 해당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말투나, 말씨가 다소 기분 나쁘게 톡 쏘아붙이는 식으로 전달할 순 있으나, 그것만 가지고 처벌하긴 힘듭니다.신고하시더라도 범죄자 신고를 통해 근로자의 권리회복이라는 법익균형 회복이 아니라 단순히 본 때를 보여주는 본보기식 보복성 신고로 정리될 공산이 큽니다. 이러한 경우 무고죄로 역고소 당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노동법률사무소 필화, 염상열 노무사 드림
Q. 구상권 청구라는게 정확히 뭔가요?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근로자님.구상권이라는 표현은 코로나19 브리핑 때 자주 등장한 표현입니다. 당시 질병청장은 국가가 병원비를 내나,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고 코로나에 걸린 환자는 병원비 구상권을 청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구상권이란 빚을 진 채무자가 직접 채권자에게 돈을 갚는 것이 아닌, 제3자가 빚을 갚고 그 금액을 채무자에게 청구하는 것을 말합니다.병원비라는 채무를 환자가 지불해야 하나, 일단 국가가 병원비를 내고 그 비용을 환자에게 청구하는 의미가 바로 구상권입니다. 다음으로 프리랜서 계약을 체결하셨고, 체결 계약서에 퇴사 시 후임자를 구한다, 미리 통보한 등 퇴사 시 인수인계 규정이 없다면 구상권 청구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회사가 어떤 손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얼마만큼 발생했는지도 모르고, 손해를 막기 위해 필요한 노력 등도 제대로 했는지도 따져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서에 해당 내용이 있는지 2주정도 추가 근무가 가능하다고 하셨으니 일단 2주정도는 근무 하시면서 대체인력 구할 시간 정도만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노동법률사무소 필화, 염상열 노무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