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남극 조약은 어떤 배경에서 체결되었나요?
남극 조약은 1950년대 냉전 시기, 남극에 대한 여러 국가의 영유권 주장과 자연 탐사 경쟁, 그리고 과학 연구의 필요성이 맞물리면서 체결되었습니다. 즉 남극에서의 영토 분쟁과 군사 활동이 국제적 갈등으로 번질 우려가 커지자 평화적 이용을 위해 체결된 것입니다. 남극 조약은 1959년 12월 1일 미국 워싱턴에서 12개국이 남극 조약에 서명했고, 1961년부터 발효되었습니다. 남극 조약의 주요 내용은 영유권 주장 동결, 군사 활동 및 핵실험, 방사성 폐기물 처분 금지, 과학 연구의 자유와 국제협력 보장, 모든 국가에 자유로운 과학 조사와 정보 교환을 허용하는 것입니다.
Q. 방통이 죽지않았다면 촉한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방통은 제갈량과 함께 촉한을 대표하는 지략가로 꼽힙니다. 익주 정복을 유비에게 적극적으로 건의하고 실제로 그 전략을 실행을 주도하였습니다. 방통은 임기응변에 능하고 기발한 계책을 잘 내는 인물이며, 촉한의 근거지 확보에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방통이 생존했다면 형주 방어 체계를 강화하고 관우의 단독 행동을 견제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방통의 현실적 전략 감각으로 오나라와의 갈등을 조율하여 형주 상실을 방지하고 북벌하고, 북벌 시 동남 방면에서 지원군을 동원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제갈량이 5차 북벌을 실패한 이유가 후방 보급과 전략적 지원 부족이었는데, 방통이 있었다면 제갈량과 협력하여 군량 조달과 병력 동원이 원활했을 것입니다. 위의 압도적 국력과 지리적 이점을 고려할 때 촉한의 통일은 어려웠지만 방통의 생존으로 한중, 형주 동시에 공세와 오나라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중원 진출의 기회를 늘릴 수는 있었을 것입니다.
Q. 우리나라에도 동학농민운동이 열린 시대적배경과 교훈은 어떤것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동학농민 운동이 일어난 시기는 대내적으로 탐관오리에 의한 농민들의 수탈이 심각하였던 시기입니다. 흥선대원군의 집권으로 세도 정치가 약화되었지만 고종의 친정 이후 민씨 외척세력들이 집권하면서 탐관오리들의 수탈이 재현되었습니다. 또한 개항으로 값싼 면직물의 수입과 유통이 확대되면서 농민들의 수입이 줄고 농촌 경제가 파탄에 이르렀습니다. 게다가 서양세력의 침략적 접근이 확대되면서 사회적 불안감은 더욱 커졌습니다.이런 상황에서 반봉건적이고 반외세적인 분위기가 확산되었으며, 1860년 몰락양반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은 제폭구민과 보국안민, 평등 사상을 내세워 교세가 확산되었습니다. 비록 혹세무민죄로 교주 최제우가 처형되었지만 2대 교주 최시형은 교리를 정리하고, 포접제를 통해 교단 조직을 강화하면서 1980년대 후반에는 삼남일대에 동학이 확산되었습니다. 결국 1894년 1월 고부 군수 조병갑의 폭정에서 항거하면서 농민봉기가 일어나면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습니다.
Q. 백제 무령왕의 22담로는 어떤 기구였나요?
백제 무령왕의 22담로는 지방 통치 강화를 위해 설치한 행정 거점이자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를 뒷받침한 제도입니다. 백제가 한강 유역을 고구려에 빼앗기고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 귀족들이 득세하고 왕권이 약했습니다. 이에 무령왕은 전국 22개의 담로를 설치하고, 왕의 자제나 왕족을 파견하여 직접 다스리게 하여 귀족세력을 견제하게 한 것입니다. 담로는 단순한 행정 구역이 아니라 군사, 행정, 사법 권한을 가지고 지방 통치의 핵심 거점 역할을 하게 하였습니다. 왕족이 직접 지방을 통치하게 함으로써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한 것입니다. 즉, 담로제는 무령왕이 왕권 강화와 지방 통체, 귀족 세력을 견제를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거점입니다. 이는 백제 중앙 집권 체제의 핵심적 역할을 했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