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군제개편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조선시대은 원칙적으로 양인개병을 바탕으로 중앙군에 5위, 지방군은 영진군을 바탕으로 합니다. 또한 자전자수의 지역 방어를 책임지는 진관체제였습니다. 그러나 삼포왜란과 을묘왜란 이후 진관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거점 방어 체제는 제승방략 체제로 전환하였습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기존의 5위 체제가 무너지고 훈련도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 등 5군영 체제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상비군인 직업 군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지방은 제승방략 체제의 문제를 지적하고 진관체제로 복귀하면서 이를 위해 속오군 체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속오군은 양반에서 노비까지 모둔 편제하여 유사시 동원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Q. 현재 역사를 기록하는 사람은 어떤 직종인가요?
역사를 기록하는 사람은 다양합니다. 우선 역사학자와 연구자는 역사적 사실을 연구하고 논문 및 저서를 통해 역사를 기록하는 전문가입니다. 또한 국가, 지방 자치 단체 및 공공 기관 등에서 정책 자료, 사회적 사건을 기록하는 기록연구사, 기록관리사도 역사 기록을 합니다. 그리고 박물관의 학예사도 사료,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그리고 오늘날은 전문적인 역사 학자 이외에도 민간인들도 역사를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사진, 영상 등을 통해 역사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