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만 젓가락 문화권에서 유일하게 쇠젓가락 쓰는 이유가 어떻게 되나요?
동아시아에서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쇠젓가락을 일상적으로 사용합니다. 우선 조선 왕실에서 독살을 방지하기 위해 은젓가락을 사용했습니다. 이 전통이 점차 상류층으로 확산된 것입니다. 이후 구리, 놋쇠, 철 등 금속 재질로 대체되어 일반화되었습니다.조선 후기에는 놋쇠로 만든 식기기 널리 사용되었고, 젓가락도 놋쇠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는 내구성이 좋고 위생적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나무, 대나무 젓가락과 비교하여 내구성이 좋고, 위생 관리가 유리합니다.
Q. 제3차 세계기독교 공의회는 무엇이며 기독교적으로 어떤 논쟁거리를 가졌나요?
325 니케아 공의회 이후 381년 제 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그리고 3차는 431년 에페소 공의회입니다. 에페소 공의회의 핵심 논쟁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 교리, 즉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 그리고 성모 마리아의 신화적 지위에 관해 논의했습니다. 그런데 네스토리우스는 마리아를 하나님의 어머니라고 부르는 것에 반대하고 그리스도의 어머니라는 강조하여 이단으로 규정되었습니다. 공의회는 성모 마리아를 하나님의 어머니로 공식 선언했습니다. 결국 네스토리우스는 이 결정에 반발하여 동방에서 독자적인 교회를 형성하게 됩니다.
Q. 사회주의는 지금 어느나라가 있는지 궁금하며, 자본주의와 비교를 했을때 국민의 생활수준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현재 사회주의를 공식적으로 표방하는 나라는 중국, 베트남, 북한, 쿠바, 라오스가 잇습니다. 이외에도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스리랑카, 탄자니아, 알제리, 가이아나 등이 헌법에 사회주의 요소를 일부 도입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혼합 경제 체제입니다.사회주의 국가의 경제 수준은 자본주의 국가에 비해 1인당 GDP가 상대적으로 낮은 낮습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 2024년 1인당 국민소득은 4700달러 수준입니다. 사회주의 국가는 의료, 교육, 주거 등 기본 복지 서비스를 국가가 책임지고, 소득 격차가 적은 편입니다. 쿠바는 의료·교육의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며, 사회적 평등을 중시합니다. 하지만 자본주의 국가도 다양한 복지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사회주의 국가는 소득격차가 적고 기본 복지가 보장되는 장점이 있으나, 경제적 풍요와 개인의 자유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국가별로 혼합경제체제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전반적으로 자본주의가 경제적 풍요, 사회주의가 평등과 복지에 강점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