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아파트 가격은 왜 이리 비정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일반적인 급여소득자를 고려하면 당연히 매우 높은 게 사실입니다. 다만, 부동산 시장도 결국은 시장경제이고 이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형성되는데, 수도권에 많은 수요가 집중되고, 공급의 경우 부동산 특성상 시간이나 한정된 부지등으로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가격은 상승될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사실 이러한 수요의 증가와 수요집중화는 결국 우리나라 사람들 인식에서 부동산 특히 주택의 경우 거주를 위한 부분보다는 제태크로써 투자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가능 큰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거기에 정부의 정책을 통한 시장개입에도 늘 대출한도를 늘려 주택구매를 허용하는 입장이기 떄문에 결과적으로 가격인상이라는 부작용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Q.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된다면 전세 제도가 사라질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우선 전세제도는 정부가 만들어서 시행된 제도가 아닌, 이전부터 사인간의 계약에서 서로의 이점이 맞아 형성된 제도로써 지금까지 이어져온 것입니다. 즉, 우리나라만 있다고 해서 불합리한 제도가 아닌 오히려 장점이 더 많은 제도라고 볼수 있습니다. 최근에 문제가 커진 것은 주택가격하락에 따른 깡통전세 , 전세사기등의 발생으로 인해 언론에 이슈화 되면서 위와 같은 이미지가 생긴것이지, 현재까지도 우리나라 임대차에서는 높은 비율로 전세계약이 차지하고 있고, 부동산 시장 안정화여부와 관계없이 강제적인든 자율적이든 당장은 사라질수 있는 제도가 아닙니다. 그에따라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된다고 해도 전세제도가 사라질 가능성은 낮으나, 투자수요가 부동산에서 사라지게 되면 전세자체의 매물은 줄어들수 있기 때문에 그 비중은 축소될 가능성은 있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