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월세 밀려 계약해지 한다고 해서 방 뺐는데 월세를 계속 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월세 계약을 중도 해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올 때까지 월세를 계속 내야 합니다. 이는 임대인이 새로운 세입자를 찾는 동안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계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계약서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부동산에서 방을 비워두면 빨리 나간다고 조언한 것은, 일반적으로 세입자가 없는 집이 더 빨리 팔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며,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보증금에서 월세를 깎는 것은, 임대인이 새로운 세입자를 찾는 동안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집은 어떠한 경우에 경매로 들어가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이 경매에 나오는 주된 이유는 집주인이 부동산에 대한 빚을 갚지 못할 경우입니다. 이런 상황은 대출로 집을 구매하였으나, 원리금을 갚지 못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금리가 높아지면서 대출 원리금을 갚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어, 최근에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고금리 현상이 지속되면서 '영끌족’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저금리 시절에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하였지만, 금리가 높아지면서 이자를 갚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집주인은 결국 집을 포기하게 되고 그 집은 경매시장으로 나오게 됩니다.따라서, 부동산 경매에 나오는 집들은 집주인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부동산 시장의 상황과 금리, 그리고 개인의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Q. 월세 만료 전 늦은 통보에 따른 추가 월세 지출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월세 계약기간 만료 전에 이사를 가는 경우, 원칙적으로는 임차인의 개인사정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언제든지 월세 계약기간 만료 전 이사 해지통보를 할 수 있습니다.단, 법적으로 그 효력은 임대인에게 통지를 한 날로부터 3개월 후에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임대인은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 후에는 보증금을 돌려주어야 합니다.따라서, 임차인이 이사를 가기 위해서는 전세 계약 기간이 만료되든지, 중도에 해지되든지 어쨌든 종료되어야 합니다. 임차인이 계약 만료 전 이사를 통보하면, 상대방이 동의만 해준다면 계약을 중도에 종료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때 임대차계약 종료일은 임대인과 임차인이 합의하여 정할 수 있습니다.이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