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는 말의 의미는?
안녕하세요. 이성훈 변호사입니다.범죄에는 피해자의 의사를 고려하여 처벌 여부를 정하는 범죄가 있습니다. 친고죄와 반의사불벌죄가 여기에 해당되는데친고죄는 피해자의 고소가 있어야 수사나 처벌이 가능한 범죄로과거 대부분의 성범죄가 친고죄였고 현재는 모욕죄 등이 친고죄에 해당됩니다.반의사불벌죄는 피해자의 고소가 없어서 수사나 처벌은 가능하지만피해자가 범인의 처벌을 원하지 않을 경우는 처벌할수 없는 범죄를 말합니다.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수 없다는 것이 반의사불벌죄를 말하는 것입니다.즉, 피해자가 범인에 대해서 처벌불원서를 제출하면 범인을 처벌할수 없게 되므로진행중인 수사나, 진행중인 재판이 그대로 종결되게 됩니다.수사중일경우는 공소권없음 처분을 하게 되고재판이 진행중일 경우는 공소기각으로 종결되게 됩니다.반의사불벌죄는 명예훼손죄, 협박죄, 폭행죄 등이 있습니다.
Q. 사별후에야 숨겨둔 자식들이 있는 이혼남이었던 걸 알게 된다면?
안녕하세요. 이성훈 변호사입니다.이전에 결혼한 사실과 이혼한 사실, 그리고 자녀가 있다는 사실까지 숨기고 결혼을 한 경우 혼인취소 사유가 될 수는 있습니다. 다만, 판결로 혼인 취소가 이루어지더라도 혼인취소는 혼인무효와는 달리취소된 시점부터 장래를 향하여 효력이 있으며취소되기까지 혼인으로 형성된 법률관계는 그대로 유효하기 때문에기존에 형성된 법률관계 자체가 소급하여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즉, 혼인취소는 효과 면에서는 이혼과 거의 동일하다고 보시면 되며이런 측면을 고려하셔서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Q. 상가임대차보호법상 환산보증금 초과업체 1년이내 인상하지못한다는 법률이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훈 변호사입니다.기본적으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일정한 범위의 환산보증금을초과하지 않는 임대차에 대해서 적용됩니다.다만, 대항력에 관한 규정, 갱신요구에 관한 규정, 권리금 회수기회에 관한 규정 등은환산보증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됩니다.차임 증액에 관한 부분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아서 환산보증금을 초과하는 경우는 해당 규정은 적용되지 않습니다.자세한 사항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2조 제3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