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년 3개월 일한 후 퇴직시 퇴직금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4주 평균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사업장에서 1년 3개월을 근무하고 퇴직하는 경우,1년 3개월에 대한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참고로,퇴직금은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퇴직금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일)1일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간 지급된 임금 총액(세전)/퇴직 전 3개월간 달력상의 일수단, 산정된 1일 평균임금이 근로자의 1일 통상임금보다 적은 경우, 통사임금을 평균임금으로 하여 퇴직금을 산정하게 됩니다.퇴직금을 직접 산정하는 것이 어렵다면,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메인화면 오른쪽 하단에 있는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여, 퇴직금 예상액을 산정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Q. 알바비 질문, 주휴수당이 궁금해요ㅠㅠ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4주 평균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1주간 소정근로일에 개근한 경우즉, 근로계약을 통해 정한 (4주 평균)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에 해당하여야 하고,근로자가 근로계약을 통해 일하기로 정한 날인 소정근로일에 결근 없이 출근하여야 매주 주휴일로 정한 날에 대하여 주휴수당이 지급됩니다.이때, 주휴수당은 1주간 소정근로일에 개근한 것을 전제로 지급되므로, 근로계약기간이 최소한 1주 이상이어야 합니다.사용자에게 근로계약서 재작성을 요청하시고, 근로계약서의 근로조건(소정근로시간, 주휴일 등)을 명확히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임금 지급 건의 경우,산출내역과 공제내역을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임금명세서 확인이 필요합니다.근로기준법 제48조 제2항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할 때 임금명세서를 교부하여야 하므로,사용자에게 임금명세서 교부를 요청하여, 임금 산정 및 공제 내역을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Q. 근무시간 전 30분 안전교육 은 시간외수당 지급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사용자의 지휘·감독에 따라, 8시 30분부터 안전장비 점검 및 안전교육을 진행하고,해당 안전장비 점검 및 안전교육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근로자에게 불이익이 발생한다면, 해당 시간은 근로시간으로 봄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해당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라면,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임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Q. 26년 최저임금 인상시 월급 기준으로는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2026년 최저임금 시간급은 10,320원으로 적용될 예정입니다.주 40시간을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주휴시간을 포함하여 월 급여액을 산정할 경우,월 2,156,880원(세전)을 지급받게 됩니다.공무원은 최저임금법에 따른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Q. 회사에서 ‘유학휴직’을 부당하게 거부했습니다.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개인적인 사유에 따른 휴직의 허용 여부는 회사의 취업규칙 등 내규에서 정한 바에 따라 진행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회사 내규에서 "유학 휴직을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허용할 수 있다"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면, 이는 회사의 재량적 판단에 따를 수 있다는 문구이므로, 회사에서 근로자의 휴직을 반드시 허용할 의무는 없습니다.부당노동행위란, 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이나 활동 등을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등의 노동3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침해 행위를 의미합니다. 유학 휴직 미허용이 노동조합 활동과 관련되지 않았다면,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하는 것은 불가합니다.회사 내규의 문구를 다시 한 번 확인하여 보시기 바라며, 회사와 추가적으로 잘 협의하여 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