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글에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랑 두음법칙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한국어 음절 종성(받침)에서 발음 가능한 자음을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개로 제한하는 규칙입니다. 이 규칙은 표기된 자음이 실제 발음에서 대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설명하며, 특히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와 결합할 때 적용됩니다꽃 위 > 꼬뒤밭 아래 > 바다래멋있다 > 머딛따 (머싯따)두음 법칙두음 법칙은 한국어에서 단어의 첫소리가 특정 조건에서 발음되는 규칙으로, 주로 한자어에 적용됩니다. 이 법칙은 발음의 일관성과 편리함을 위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ㄴ' 두음 법칙- 한자어의 '녀, 뇨, 뉴, 니'로 시작하는 단어는 'ㄴ'이 'ㅇ'으로 발음됩니다. (예) 녀자 > 여자, 닉명 > 익명, 년 > 연, 뉴대 > 유대'ㄹ' 두음 법칙- 한자어의 '랴, 려, 례, 료, 류, 리'로 시작하는 단어는 'ㄹ'이 'ㅇ'으로 발음됩니다.(예) 뉼법 > 율법, 력사 > 역사, 료리 > 요리다만 고유어, 외래어, 의존명사, 고유명사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본음 그대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것은 일부 예외적으로 두음법칙을 적용한 것을 고유명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Q. 보수 원로 조갑제씨의 한자교육 강화는 문해력과 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은 과거 한자문화권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한자어가 아닌 순우리말도 있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단어는 한자어음입니다. 한글은 가장 발달한 표음문자이므로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문자가 우리가 발음하는대로 한글로 모두 표기될 수 있기에 자칫 한글만 알면 되지 굳이 한자어를 알아야 하나라고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우리 책, 방송, 사람들 간의 대화 속에서 사용하는 많은 단어들이 한자어이므로 한자를 잘 알고 있는 것은 문해력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화분(꽃을 심어 기르는 그릇), 전화기(말을 전기나 전류로 바꾸어 다시 말소리로 변환시켜 원거리 대화하는 기계), 악수(한손을 마주내어 잡는 일, 인사), 선물(상대에게 정이나 인사로 물건을 주거나 준 물건), 조식, 중식, 석식(아침, 점심, 저녁식사), 숙박(일정한 곳에 잠을 자고 머무름), 전쟁(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보수, 진보 (보전하여 지킴, 사회변화나 발전을 추구), 정치(나라 등을 바르게 다스리는 일) 등 정말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한자어가 우리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중국의 것이니 순우리말로 바꿔야 한다가 아니라 정말 오랜 역사 속에서 서로 교류하면서 국가간 소통을 위해 고착화된 것이므로 우리 역사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한자어만 사용하는 현학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은 문제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말 중에는 한자어가 많기에 한자어를 공부하는 것은 문해력 및 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그것에서 발전하여 그에 맞는 순우리말도 함께 공부하여 점차적으로 바꾸어 나갈 수 있는 것은 그렇게 해나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Q. 철학,역사 관련 소설이나 이론서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철학, 역사 관련 소설 or 이론서를 추천드립니다. 철학 관련 서적으로는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 에릭 와이너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 야마구치 슈역사 관련 서적으로는 총균쇠 / 제레드 다이아몬드사피엔스 / 유발 하라리 (인문 종합으로 들어간다고 하나 내용을 보면 인간의 역사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벌거벗은 한국사 & 세계사 시리즈 / tvN제작팀를 추천합니다.철학 관련 소설로는평범한 인생 / 카렐 차페크죽은 철학자의 사회 / 이종철소피의 세계 / 요수타인 가아더어느 개의 연구 / 프란츠 카프카역사 관련 소설로는고구려 / 김진명7년 전쟁 / 김성한남한산성 / 김훈장미의 이름 / 움베르토 에코워터 댄서 / 타네히시 코츠태백산맥 / 조정래를 추천합니다.철학, 역사 관련 소설들은 대부분 그것 자체가 주제가 아니라 이야기 속에 철학이 들어있고, 역사적 사건의 흐름으로 픽션 또는 논픽션으로 서사를 전개하기에 찾아보시면 더 많은 작품들이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Q. 고전문학을 현대인이 읽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고전문학을 추천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것은 현대 문학의 근간이 되는 형식, 가치, 철학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간혹 고전문학은 현대문학과는 달리 인간의 본질적인 등등을 담고 있다는 말을 하곤 하지만 그것은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현대문학도 고전문학처럼 인간의 삶과 죽음, 철학적 가치 등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고전문학을 추천하는 이유는 그러한 현대문학의 근간이 되는 것들의 원형 그대로의 형식, 가치, 철학을 담고 있는 것이 고전이기 때문입니다. 온고지신이라고 합니다. 옛것을 익혀 새것을 안다라는 뜻으로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구절인데 그것이 고전을 읽어야 하는 정답을 말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