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준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우 전문가입니다.
이준우 전문가
베이직 노무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주휴수당,퇴직금 받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는지 여부는 퇴직금이나 주휴수당을 지급받는데 지장이 되지 않습니다.관할 노동청에 가셔서 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하시면 퇴직금과 주휴수당을 받으실 수 있으며,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하실 때 급여계좌 내역 등을 제출하시면 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임금체불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새벽에 알바생의 일방적인 통보에 관한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실적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하실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손해배상 청구에서 승소하려면 근로자가 갑작스럽게 퇴사함으로 인해 회사에 현실적으로 발생한 손해를 입증하여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고, 설령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소송비용이나 시간 등을 고려한다면 실익이 거의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임금·급여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연장근로의 보상을 휴무로 받는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뇨,휴무로 받으실 때도 가산된 휴무를 받으셔야 합니다.즉 2시간의 연장근로를 했을 때 3시간의 수당이 지급되듯이3시간의 휴무가 주어져야 맞습니다.이를 근로기준법 제57조의 보상휴가제라고 부릅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휴일·휴가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개인질병으로인한 경조휴가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법적인 내용이 아니라서 정답은 없는 문제라고 생각되나,휴가는 '근로제공의무가 있는 날에 근로제공의무를 면하게 하는 제도'라는 점에서,원래 근로제공의무가 정지되어 있는 휴직기간 중에는경조휴가가 따로 발생하지 않으며, 회사에서도 휴직기간 일부를 경조휴가로 대체할 수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구조조정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후임자가 없다는 이유로 퇴사를 막는 회사.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직의사를 밝힌 이상 퇴사하셔도 무방합니다.손해배상 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퇴사로 인해 손해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사업주가 입증하여야 하는데입증이 쉽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손해배상청구가 들어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산업재해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특수형태 근로 종사자 산재신청 문의 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직접 근로복지공단에 산재 신청을 하시면 되고,회사와 협의하실 필요는 없습니다.다만 회사에 산재 신청을 할 것이라는 내용은 통지하시고회사의 도움을 받으실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협조 받으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산업재해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일반 회사도 출퇴근 하다 사고나면?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출퇴근 중의 재해가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기 위해서는출퇴근 행위와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합니다.기존에는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의 지배관리 하에서 출퇴근 하는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업무상 재해를 인정하였는데,최근 산재보험법이 개정됨에 따라 '통상적인 경로 및 방법'에 따라 출퇴근하다 발생한 사고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는 등 업무상 재해 인정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즉 사기업이라고 하더라도 근로자가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일반인이라면 사회통념상 이용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로 및 방법)으로 출퇴근 하다가 재해를 당했다면 업무상 재해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임금·급여
2019년 12월 27일 작성 됨
Q.
편의점 알바는 주휴수당과 퇴직금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일 6시간씩 주 5일 근무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주휴수당 계산은 아래와 같이 합니다.[30시간 / 40시간 * 8 * 시급]한편, 퇴직금은 근로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부터 발생하며,1년 미만 근로할 경우 발생하지 않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임금·급여
2019년 12월 26일 작성 됨
Q.
계약직 1년 안채우면 퇴직금??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법적으로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즉 11개월 20일 근무한 경우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휴일·휴가
2019년 12월 26일 작성 됨
Q.
강제휴가제도가 가능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준우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차휴가는 근로자가 청구하는 시기에 부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즉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사업주가 연차를 쓰도록 강요하고 소진한 것으로 취급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상황이 지속된다면 회사 관할 노동청에 연차 강제사용에 대해 신고하실 수 있는 사안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106
107
108
109
1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