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 입니다.
주현종 전문가
노무사사무소 교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부부가 같이 근무할때는 고용보험가입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부부 중 어느 한쪽이 사업자인 경우에는 다른 배우자는 고용산재보험 가입이 제한됩니다. 근로자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개인사업자만 가입할 수 있는 고용보험이 별도로 있습니다. 이것은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근로계약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전에 일하던 회사에서‘퇴사후 건강및 고용보험공단에서 퇴직정산 보험금이 나왔다고 문자가 왔는데’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보통 퇴사할 때 건강보험 및 고용보험에 대한 보험료 정산을 보게 되며, 마지막 월급에서 보험료를 차감 징수해 정산합니다. 질문주신 내용을 보았을 때 회사가 보험료 정산분을 차감 징수하지 않아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상황임을 문자로 알린 것 같습니다. 보험료 정산금을 계좌로 납부하기 전에 회사에 한번 연락하셔서 정산 보험료가 발생한 것이 확실한 것인지 별도 확인한 후에 납부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업재해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산재처리 시 병원 변경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1. 의사 진단서상 4일 이상의 치료기간이 명시되어야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을 해서 요양승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처음 진료를 본 의사의 진단 소견이 필요합니다. B병원에서 진료를 본 의사의 진단 소견을 제출해도 공단에서 처음 진료를 본 의사의 진단 소견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1년 미만자 월차,,,(10월 15일 입사.12월 14일 퇴사)몇개인가요?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입사일이 10월 15일인 경우 11월 15일, 12월 15일에 각각 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마지막 근로일이 12월 14일이고 최종 12월 15일에 퇴직한다면 연차휴가는 1일만 발생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회사 창립기념일이 주휴일(일요일)과 겹칠경우 주휴수당만 지급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1. 주휴일과 다른 휴일이 중복되는 경우 주휴일과 별도 휴일을 각각 중복하여 인정해준다는 취지의 명시적인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주휴일 또는 다른 휴일 중 하루의 휴일만 인정할 수 있습니다. 2. 그런데 질문자분의 취업규칙을 보면 제1항의 경우에만 주휴일과 중복될 경우 주휴일로 대체한다는 취지로 명시되어 있어 그럼 다른 휴일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마치 각각 주휴일과 별도 휴일을 중복해서 인정해준다는 취지의 내용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3. 다만, 명확하게 각각의 주휴일과 휴일을 중복해서 인정해준다는 취지의 명시적인 내용은 없는 관계로 우선은 주휴일 하루만 인정하여도 곧바로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진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취업규칙의 내용은 명확하게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12월 신규입사자도 법정의무교육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12월 중도 입사한 직원들에 대해서는 별도 법정의무교육을 실시하지 않아도 곧바로 과태료가 부과되진 않습니다. 따라서 12월 중도 입사한 대상자들은 24년부터 법정의무교육을 실시하셔도 무방합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근로지급일보다 빨리 급여를 지급해도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임금을 근로계약서에 따라 원래 정해진 지급일보다 더 빨리 선지급하는 것은 무방합니다. 임금을 근로계약서에 정한 지급일 보다 늦게 지급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될수도 있으나, 미리 먼저 선지급하는 경우는 별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업재해
2023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유급병가 기준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1. 근무 중 부상 등을 당한 경우에는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진단서에 치료 기간이 3일 이하인 경우에는 공단에 산재요양신청은 제한됩니다. 만일, 3일이하 치료기간에 해당하여 산재신청이 제한될 경우에는 회사가 치료 기간 동안 평균임금의 60%를 유급으로 인정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2. 근무 중에 부상을 당한 것이 맞다면 치료에 드는 비용도 사업주가 부담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20일 작성 됨
Q.
급여가 밀릴 경우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1. 우선은 회사에서 왜 급여가 제때 지급되지 않고 있는지 사유에 대해서 어느정도 확인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회사가 정말 어려워서 임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회사가 임금을 지급할 여력은 되는데 일부러 늦게 지급하는 것인지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2. 만일, 후자인 경우에는 회사가 고의로 임금을 늦게 지급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곧바로 관할 노동청에 임금체불로 진정을 제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회사로부터 체불임금 청산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그래도 해결되기 어려울 것 같으면 그때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20일 작성 됨
Q.
근로계약서 항목에대한 질문요청합니다.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질문주신 내용과 올려주신 근로계약서 내용만 가지고 곧바로 판단하긴 어렵습니다. 추후 임금명세서도 같이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상시 5인 이상 사업장에 해당한다면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시 각각 가산임금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시급이 높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시급에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따른 가산임금도 포함된 것으로 보이기도 하나, 정확한 것은 근로계약서와 임금명세서를 같이 자세히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506
507
508
509
5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