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 13시간 전 작성 됨
Q.
통관지연이 자주 발생하는 주요 원인에는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통관지연이 자주 발생하는 케이스는 보통은 검사인듯 합니다. 그리고 그 외 준비로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서류구비입니다. 수입통관시 일부 물품들은 수입요건 충족 여부에 대하여 서류를 구비하여야되기에 수입신고 전에 해당 서류를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검역 및 검사도 가능하면 빠르게 진행되도록 세관에 협조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약 13시간 전 작성 됨
Q.
만약 협상이 잘 안되어 25%관세는 우리나라 무역에 어느 정도의 피해가 예상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일단 다행히 관세는 15%로 합의가 되었고 관세율로만 따지자면 목표치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만약에 관세협상이 되지 않는다면 영업이익 5~10%인 한국기업들은 25%의 관세를 미국 판매가격에 전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매출 및 영업이익의 감소, 경기침체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약 13시간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미국 관세 협상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현재 한국은 15%로 관세협상을 완료하였으며 이는 상호관세 및 자동차/부품 관세에 적용됩니다. 그리고 철강, 알루미늄은 50%관세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는 일본, EU와 동일한 조건이며 그외 협상한 국가는 인니, 베트남 등이 있습니다. 그 외 국가들은 여전히 관세 협상을 하고 있으며 인도 등 일부 국가들은 이에 대한 협상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감사합니다
약 13시간 전 작성 됨
Q.
오늘 우리나라가 미국과 관세 협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15%)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우리만 15%를 부과받는 것입니다. 현재 미국이 한국으로 수출할때의 관세는 기본관세가 대부분 8%이며 FTA를 통하여 대부분 면제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이러한 와중에 우리나라에 상호관세, 자동차부품 관세 등으로 15%를 부과한 상태이기에 일방적으로 한국만 관세를 지불하게된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약 13시간 전 작성 됨
Q.
관세 협상은 어떻게 됐을까요?? 25%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오늘부로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부품은 15%, 상호관세는 15% 그리고 철강 알루미늄은 50%를 유지하는 것으로 EU, 일본과 동일한 조건으로 협의하였습니다. 다만 이에 대하여 결국 관세가 상승하였기에 기업들은 가격에 이를 어떻게 전가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여야되며 추가적으로 한국이 투자하기로한 3500억불이 사실상 기부이기에 이에 대하여 논란이 많은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