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무역
무역 이미지
Q.  대만 해협 분쟁 확대 시 한국의 대체 무역로 확보 전략은?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남중국해 무역로가 차단되면 한국은 수출입의 약 30%를 차지하는 말라카 해협 의존도가 큰 만큼 심각한 물류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동해 항구(예: 포항, 동해, 속초)를 활용한 유라시아 육상 물류망 구축은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동해항을 기점으로 북한의 나진항과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해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활용하면 유럽과 중앙아시아로의 육상 물류가 가능해집니다. 다만, 이는 남북 관계 개선과 국제 제재 완화라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며, 인프라 투자와 국가 간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다만, 가능성은 있지만 인프라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실제로 이뤄질지는 확인을 해봐야될듯 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러시아 석유 가격상한제 우회 수출 증가가 통관 감시에 미칠 영향은?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러시아산 원유가 선박의 AIS(자동식별시스템) 조작을 통해 우회 수출되는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관세청은 위성 기반의 선박 위치 추적과 AIS 신호 비정상 패턴 분석 기술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AIS를 끄거나 허위 신호를 보내는 '다크 선박' 탐지를 위해, 위성 영상(SAR 및 광학 위성)과 상업용 AIS 데이터를 결합한 머신러닝 분석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선박이 갑자기 신호를 끊거나 예상 항로를 이탈하는 패턴을 실시간으로 식별해, 의심 선박을 조기 포착하는 데 활용됩니다.더불어, 관세청은 블록체인 기반의 공급망 추적 시스템이나, 원유 성분 분석을 통한 출처 식별 기술도 도입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부분은 중소기업이나 스팟성 물량에 대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선별적으로 화물을 검사할 가능성이 높은 점도 참고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러시아의 우라늄 제재가 우리나라 무역 공급망에 많은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한국은 러시아산 우라늄 의존도가 낮은 편이지만, 글로벌 공급망이 연결돼 있어 국제 가격 상승이나 가공·정제 단계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면 간접적인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농축 우라늄 분야에서 러시아가 세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대체 공급처 확보나 가격 변동성 대응이 중요해졌습니다.이에 따라 우리 원자력 업계는 공급 다변화와 전략 비축 확대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캐나다, 호주, 카자흐스탄 등 우라늄 생산국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안정적 공급선을 확보하고, 미국·유럽의 농축시설 활용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다만 전세계적으로 이러한 관련 물품에 대한 가격 상승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무역운송에서 국제 트래픽 예측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무역 실무에서 물류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국제 운송 트래픽 예측 도구로는 project44, FourKites, Flexport 같은 플랫폼이 있습니다. 이들은 글로벌 선박 및 항공기 움직임, 항만 혼잡도, 통관 지연, 날씨 및 지정학적 위험 등 실시간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예상 지연 시간이나 리스크를 사전에 알려줍니다. 특히 선적 단위로 추적이 가능하고, AI 기반의 ETA(도착예정시간) 예측 기능을 제공해, 물류 일정 조정이나 고객 응대에 있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합니다.이러한 플랫폼은 단순한 트래킹을 넘어, 대체 경로 제안이나 화물 우선순위 재조정 등의 의사결정 도구로도 활용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활용해본 적이 없기에 직접 테스트본이나 혹은 후기를 통하여 이에 대하여 평가후 사용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중동 신규 무역회랑(Middle Corridor)이 기존 해상 운송과 경쟁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현재 한국의 유럽 수출은 대부분 해상 운송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 경로는 시간과 비용 면에서 한계가 있으며, 특히 중동 정세나 해상 물류 혼잡 시 불안정성이 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이 신(新) 육상 회랑은 기존의 러시아·벨라루스 경로를 우회하면서도 중앙아시아 및 남캅카스를 경유해 터키로 연결되어, 안정적이고 비교적 빠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다만 이 회랑이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개선, 통관 절차 간소화, 정치적 안정성 확보 등 여러 전제가 충족돼야 합니다. 아직 일부 구간의 철도·도로 연결이 미흡하고, 물류 효율도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단기적 효과보다는 중장기적 대안으로 보는 시각이 더 적절합니다. 아울러, 한국은 결국 북쪽이 북한으로 막혀있기에 이에 대하여 별도의 운송수단을 마련해야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3563573583593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