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FTA 원산지증명서를 작성할 때,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와 절차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원산지기준은 보통 세번변경기준, 부가가치기준으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공통적으로는 BOM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HS code가 필요합니다. 세번변경기준은 여기서 완료되지만 부가가치 기준의 경우에는 부가가치 기준에 맞는 부품별 가격도 필요하기에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도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효율적으로 이를 준비하는 방법은 구매데이터나 오더데이터와 BOM을 연결하며 BOM 확인시 HS code 및 가격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Q. 원산지 검증절차에 대한 대응방안은?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원산지검증이란 협정관세 적용 대상에 대하여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크게는 직접검증, 간접검증이 있으며, 직접검증은 보통 미국, 캐나다 등 미주권 국가들간의 FTA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증은 세관에서 통지가 오게되며, 대상 품목들에 대한 필요자료들을 제출하게 됩니다. 기초서류인 수출신고필증부터 BOM, 자재단가, 단가증빙서류 등을 제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세관이 이에 대하여 확인을 완료하면 검증이 완료되지만 이러한 서면검증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직접검증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시스템화를 통하여 관련 증빙들을 잘 갖추고있는 방법밖에 없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