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염정흠 전문가
EU건축사사무소
화학
화학 이미지
Q.  에탄올과 알코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은 히드록시기(혹은 하이드록시기라고도 부름/-OH)가 들어있는 물질을 통틀어서 부르는 것입니다.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이 알코올에 해당됩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알코올이 큰 범위이며 에탄올은 그 안에 포함된 한 종류입니다. 시중에서 주로 에탄올을 알코올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빗물은 왜 차갑지 않고 미지근하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환경에 따른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름이라면 비가 내리기 전까지 기온이 높은데 땅으로 내려오는 빗방울이 그 기온으로 인해서 데워지는 것입니다. 대기가 식혀질 정도로 비가 계속 되면 나중에는 차가운 상태의 빗방울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빗방울의 부피가 작기 때문에 열흡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미는 63빌딩에서 떨어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고층 건물에서 자유낙하한 개미는 살아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질량에 관계 없이 중력이 똑같이 작용하지만 다른 변수가 있습니다. 공기저항입니다. 진공상태에서 무거운 쇠구슬과 가벼운 깃털을 동시에 낙하시키면 떨어지는 속도가 갔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대기환경에서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가벼운 깃털이 영향을 더 많이 받아서 공기 흐름을 따라 움직이면서 천천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층 건물에서 떨어지는 개미도 그럴 것입니다. 낙하하는 현장의 공기 흐름을 타고 날아다니다가 천천히 떨어질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추락지점과 먼 곳에 떨어질 수는 있겠지만 개미가 죽을 만큼의 충격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반딧불이를 왜 개똥벌레라고 부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몇 가지 설이 있는데 한가지는 반딧불이는 취선이 있는데 손으로 잡아서 보다가 개똥냄새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다른 설로는 개똥처럼 지천에 멀린 벌레라는 의미로 붙였다고도 합니다. 지금은 환경오염으로 많이 줄었지만 예전에는 매우 흔하게 보였습니다. 또다른 설로는 반딧불이가 밤에는 짝을 찾으러 나왔다가 낮에는 어둡고 습기가 찬 곳에 숨어야 되는데 적당한 곳을 못 찾은 녀석들이 개똥이나 소똥 밑에 숨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실제 시골에서 반딧불이가 두엄을 모아둔 곳에서 보았다고 해서 똥을 먹고 산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위와 같은 설이 남아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셀프 세차장에 가면 거품세차 하는 과정이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자동차에 쓰이는 카샴푸는 중성이 많고,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알칼리성과 산성은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데 보통 프리워시에 많이 사용되며, 앞서 사용한 제품의 성분과 반대되는 성분의 제품을 사용하여 중성화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성 제품은 석회질, 철분 등의 제거효과를 위해서 사용하고, 알칼리송 제품은 유분을 포함한 오염물 제거효과를 위해서 사용합니다. 그렇다 보니 왁스층이 깨지기도 합니다. 알칼리성 제품을 사용하면 금속면도 손상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 때문에 적절한 산도의 약알칼리성으로 제조하며, 희석비를 지키도록 권장합니다. 어떤 제품들은 금속면이 손상이 되지 않도록 만들고 있습니다.앞서 설명했듯이 대부분의 카샴푸는 중성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산성과 알칼리성 경우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격이 좀 더 비싸서 세차장에서는 중성 세제를 사용할 겁니다. 그리고 프리워시로 사용되는 세정제는 뿌리고 미트질을 하지 않고 고압수로 씻어내는 형식이기 때문에 차에 손상이 생길 일은 매우 드물 것입니다. 별도의 세차용 제품을 사용하신다면 제품의 산도에 따른 성질을 잘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가오니 제습기를 하루종이 켜두는데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환기도 잘 시켜준다면 몸에 해롭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제습을 위해서 제습기를 가동하는데 환기를 해야 된다는 것이 맞지 않을 수 있는데 잠깐씩 자연환기를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제습기 가동이나 선풍기 가동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제습이 목적이라면 창문을 다 닫아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게 되면 실내 공기질이 안 좋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제습기도 내부까지 세척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먼지나 세균이 축척됐을 수 있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계속 가동한다면 어느 정도는 밖으로 나오는 바람에 섞여서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풍기의 바람도 집안에 가라앉아 있을 먼지 등을 날려서 공기 중에 떠있게 할 수 있는데 그 공기를 마실 수 있습니다. 청소를 잘 한다고 해도 청소 중에 제거되지 않은 부유물이 내려 앉기 때문에 계속 먼지가 쌓여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실내에 호흡을 통해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능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잠깐의 환기로도 해결이 되는 것입니다. 환기 중에 먼지가 섞여 들어올 수도 있지만 빠져나가는 것도 있으니 그 부분은 안 좋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아 환기를 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요즘 아파트에는 공조기라는 것이 설치되어 있는데, 창문을 통한 환기로 공기의 열손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환기를 해줄 수 있습니다. 특히 공조기 내부에 필터의 성능이 좋은 것을 사용한다면 먼지에 대한 정화효과도 있습니다. 제습기와 선풍기를 상시 가동한다고 해서 크게 문제가 될 것 같지는 않지만 실내공기질을 위해서 자연환기나 공조기를 통한 기계환기를 수시로 해줄 것을 권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눈감고 쉬는 것과 스마트폰 보고 쉬는 것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매우 큰 차이가 날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는 것은 눈에 피로를 계속 주는 행동입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나 필름 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더 큰 피로를 줄 수 있습니다. 굳이 긍정적인 부분을 생각하자면 스마트폰을 통해서 재밌는 컨텐츠를 이용한다면 정신적인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눈을 감고 아무 생각이 없이 명상을 가진다면 긴장완화와 정식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왕이면 스마트폰 보다는 육체적, 정신적 휴식을 가지는 것이 더욱 좋을 것입니다. 일상 중에 심신의 스트레스는 가벼운 운동이나 명상 또는 아무 생각 없이 있는 행위들이 도움이 됩니다. 세계적인 부자들도 명상, 낮잠 등을 통해서 휴식과 스트레스 완화를 해줌으로써 집중력을 높이고 있다고 합니다. 가벼운 운동까지 할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몸에 긴장을 풀면서도 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운동 후 단백질 섭취를 전에 하는게 좋나요 후에 하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식사 후에 먹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운동 전에 먹는 것도 효과는 있지만 운동 후 1,2시간 이내에 섭취하는 영양소가 많이 흡수되기 때문에 운동 후가 좋다는 것입니다. 운동전에 음식물을 섭취하면 소화기관이 운동 중에 자극을 받아서 소화장애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원만 소량 섭취하고 30분 이상 시간을 두고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후 섭취하는 단백질도 전부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평소에도 4,5시간 간격으로 섭취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근육의 회복은 대략 48시간 정도 걸리기 때문입니다.정리하면 운동 후 1,2시간 이내 섭취가 가장 효과적이며, 평소에도 4,5시간 간격으로 섭취하면 좋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집구조를 왜 육각형으로 만드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히는 처음부터 육각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초기에는 각 방을 원형으로 만듭니다. 그런 후 벌의 체온으로 밀랍으로 된 집이 물렁해지는데 그때 인접한 방 사이에 벽이 표면장력에 의해서 각이져 육각형이 되는 것입니다. 이는 영국의 한 연구팀에 의해서 밝혀진 것으로 벌이 집을 만든 직후 몇 일간 원형이던 것이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난 후 육각형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했습니다. 비슷하게 재현하기 위해서 원기둥형태의 플라스틱 빨대 다발에 열을 가했더니 벌집처럼 육각형 다발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진 육각형의 벌집은 무게 효율적이고, 고르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벌집 무게의 30배 가량의 꿀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육각형의 벌집은 공간 효율성도 매우 뛰어납니다. 집과 집 사이에 빈틈이 없으면서 공간의 내부는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에 비해 공간이 비좁은 부분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벌집은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만들면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형태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식사 후 바로 운동을 하면 건강에 해가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운동의 종류나 강도,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을 포함하여 운동에 관여하는 여러 부분들이 자극을 받아 긴장상태가 됩니다. 운동한 부위뿐 아니라 다른 여러 부위도 긴장하게 됩니다. 물론 소화기관에도 근육이 있습니다. 인위적으로 활동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극에 의해서 긴장상태가 될 수는 있습니다. 가볍게 걷기(너무 오래 걷는 것은 안됨)나 일상생활에서 움직임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운동 강도가 높을수록 더 자극을 많이 받게 되는데 소화활동을 하고 있다면 그 자극으로 인해서 소화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사전후로 적당한 시간을 두고 운동을 하라고 권장합니다. 식전에는 격렬하게 운동을 하고 스트레칭까지 잘 한 경우 소화장애가 없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식사전후로 30분~1시간의 간격을 두라고 말하거나 1시간 이상 간격을 두라고 많이 얘기합니다. 정확한 답은 없지만 식사 전이라면 운동 30분~1시간 전에 가볍게 에너지원이 될 만한 음식물을 섭취해주면 좋고, 운동 후에도 그 정도의 시간을 두고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후 1~2시간 안에 식사를 통한 영양섭취가 신체에 큰 효과를 주기 때문에 몸에 긴장감을 잘 풀어준 후 식사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식사 후 은동을 하겠다면 시간을 넉넉하게 잡으실 것을 권합니다. 음식물이 위에서 머무는 시간이 3~4시간 정도인데 그 시간을 피해서 운동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강도 운동을 할 경우 3시간 이상 간격을 둘 것을 권장합니다. 그 시간을 다 못 맞출 수도 있겠지만 건강을 위해서 하는 운동이니 최대한 식사시간과 간격을 두고 운동할 것을 권합니다.
81828384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