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남자들이 왜 더위를 더 많이 타나요??
주로 근육량과 기초대사량, 호르몬, 그리고 피부 혈류량 등 생물학적 차이 때문입니다.보통 남성은 여성보다 근육량이 훨씬 많습니다. 근육은 우리 몸에서 열을 생산하는 주된 원천인데, 운동을 하지 않아도 근육량이 많으면 그만큼 더 많은 열을 만들어냅니다. 이로 인해 남성의 기초대사량이 높아 같은 활동을 해도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더위를 더 쉽게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또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의 피부 온도가 여성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이 있으며, 더운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남성의 피부 온도가 여성보다 더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피부로 가는 혈류량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결론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인 차이, 특히 근육량과 관련된 열 생산 능력의 차이가 체감 온도의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진화론에 따르면 생물은 환경에 적응하며 변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떤 기준에서 진화와 멸종이 결정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사실 진화와 멸종은 상당히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진화는 변이, 유전, 선택에 의해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게 됩니다.먼저 같은 종 내에서도 개체들 사이에 다양한 형질 차이인 변이가 존재해야 합니다. 이 변이는 유전자 돌연변이, 유전자 재조합 등을 통해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형질 변이가 자손에게 유전되어야 합니다. 즉,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전달되는 메커니즘이 있어야 하죠. 이후 환경 변화가 발생했을 때, 특정 형질을 가진 개체가 다른 개체보다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거나 불리해집니다. 이를 자연 선택이라고 합니다.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는 살아남아 더 많은 자손을 남기고, 그렇지 못한 개체는 도태되는 것입니다.이러한 과정이 여러 세대에 걸쳐 반복되면서 유리한 형질의 빈도가 증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 전체의 특성이 변화하며 새로운 종으로 분화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그리고 멸종은 환경변화의 급격성, 또는 유전작 다양성의 부족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등으로 발생합니다.즉, 생물이 적응할 수 없을 정도로 급격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환경 변화가 발생할 때 멸종 위험이 커지게 된느데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나 운석 충돌, 전 지구적 재난 등은 많은 생물종의 적응 능력을 초월하여 대량 멸종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 종 내에 유전적 변이가 충분하지 않으면,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질이 나타날 가능성이 낮아져 멸종에 취약해집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낮으면 특정 질병에 대한 취약성이 커지거나,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진 개체가 없어 종 전체가 멸종할 수 있는 것입니다.결론적으로, 진화는 환경 변화에 대한 개체군 내의 유전적 변이와 자연 선택을 통해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반면 멸종은 생물이 급격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유전적 다양성 부족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며 종 전체가 사라지는 현상입니다.
Q. 개 같은 경우는 사람보다 소화력이 뛰어난가요?
네, 보통 개는 사람보다 소화력이 뛰어난 편입니다.특히 말씀하신 것처럼 쉰 밥 같은 상한 음식도 비교적 탈 없이 잘 소화하는 편인데, 이는 개와 사람의 소화기관에 몇 가지 차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가장 큰 이유는 개의 위산이 사람의 위산보다 훨씬 강력하고 산성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이런 강력한 위산은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어 길거리에 떨어진 음식이나 상한 음식을 먹어도 쉽게 탈이 나지 않는 것입니다.또한 개는 음식물이 내장을 통과하는 데 12~30시간 정도 걸리는 반면, 사람은 최대 5일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의 소화기관이 더 짧고 고단백, 고지방 식단에 적합하게 진화했기 때문인데, 체내 머무르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상한 음식이나 탈이 날 수 있는 음식이라도 빠르게 배출하여 탈이 나는 경우가 적습니다.
Q. 러브버그가 2주뒤면 사라진다고 하는데 갑자기 우리나라에 왜 많이 나왔나요.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 때문입니다.러브버그, 즉 붉은등우단털파리는 섭씨 26도 이상의 고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합니다.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의 5~6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졌고, 장마와 같은 습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러브버그가 번식하기에 최적의 환경이 조성된 것입니다.더욱이 겨울철 추위가 약해지면서 러브버그 유충의 월동력이 높아져 이듬해 성충으로 부화하는 개체수가 증가한 것도 이유입니다.참고로 2주 뒤 사라지는 이유는 수명 때문입니다.러브버그는 성충이 되면 수컷은 3~5일, 암컷은 약 일주일 정도밖에 살지 못하는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량으로 출현하지만, 짧은 성충 활동 기간이 끝나면 자연스럽게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햇볕이 강해지고 대기가 건조해지면 빠르게 죽는 특성도 있습니다.
Q. 체감온도는 어떻게 측정되고 알수 있나요?
먼저 체감온도는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더위나 추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단순히 온도계로 측정하는 기온과는 다르게, 기온 외에 습도, 바람 등 다양한 기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됩니다.그리고 체감온도는 직접 측정하기보다는 공식을 통해 계산하여 산출합니다.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여름철과 겨울철에 서로 다른 산출식을 사용하며, 이 방식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기도 합니다.여름철 체감온도 : -0.2442 + 0.55399Tw + 0.45535Ta – 0.0022Tw2 + 0.00278TwTa + 3.0(기존 3.5)Tw = TaATAN[0.151977(RH+8.313659)1/2] + ATAN(Ta+RH) - ATAN(RH-1.67633) + 0.00391838RH3/2ATAN(0.023101RH) - 4.686035Ta : 기온, Tw : 습구온도(Stull의 추정식 이용), RH : 상대습도(%)겨울철 체감온도 : 13.12 + 0.6215Ta - 11.37 V0.16 + 0.3965 V0.16TaT : 기온, V : 10분 평균 풍속(km/h)겨울철 체감온도는 보통 기온이 10도 이하이고 풍속이 1.3m/s 이상일 때 산출됩니다.이상의 방식입니다. 특히 여름철 체감온도 산출방식은 2022년 6월 변경이 되었습니다.그리고 말씀하신 현재 기온이 30도라면 여름철 체감온도 공식을 적용해야 합니다.이 경우, 습도가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기온이 30도인데 습도가 높다면 체감온도는 30도보다 훨씬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땀을 증발시켜 체온을 조절하는데, 습도가 높으면 땀이 잘 증발하지 못해 열 발산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기온 30도에 습도가 70%를 넘으면 체감온도는 33도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반면 기온이 30도라도 습도가 낮다면 체감온도는 30도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약간 낮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땀 증발이 원활하여 체온 조절이 비교적 쉽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