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야생동물들이 먹이를 먹으면서 먹이에 묻혀있는 흙, 모래 등을 그대로 먹어도 몸에 이상이 없는 지 알려주세요.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경우 몸에 큰 이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오히려 일부 토양을 먹는 행위가 야생동물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왜냐하면 흙 속에는 동물의 생존에 필요한 철분이나 칼슘, 나트륨 등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 특정 미네랄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흙을 섭취하여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부 앵무새는 나트륨 섭취를 위해 흙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또한 특정 토양 성분은 독성 물질을 흡착하거나 위장 장애를 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야생 침팬지나 코끼리 등이 흙을 먹는 이유 중 하나로 체내 유독 물질 흡수를 막거나 위장 장애를 치료하는 목적이 언급되는 이유죠.결론적으로, 초원이나 산악지대 야생동물이 먹이에 묻은 흙이나 모래를 섭취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건강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일부 토양 섭취는 생존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찰스 다윈이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관찰한 것들이 그의 진화론 정립에 어떤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나요?
먼저 갈라파고스 제도는 여러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섬마다 미묘하게 다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특히 다윈은 이 섬들을 탐사하면서 같은 종류의 동물이라도 섬마다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는데, 그 대상이 바로 핀치새입니다.또한 갈라파고스 제도의 많은 생물종은 다른 어떤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고유종으로 이는 이 섬들이 육지로부터 오랫동안 고립되어 독자적인 진화를 거쳐왔음을 뜻하는 것이었습니다.게다가 다윈은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의 등딱지 모양이 섬마다 다르다는 것도 발견했습니다.또한, 육지 이구아나와 바다 이구아나가 한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지만, 각각 육상 환경과 해양 환경에 적응하여 독특한 특징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죠.이러한 관찰 결과들로 다윈은 생물종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적응하며 점진적으로 변화한다는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론을 구체화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제한된 조상종이 다른 섬으로 퍼져나가면서 섬의 환경에 맞춰 적응하고 새로운 종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갈라파고스 생물들의 모습은 진화론 정립에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되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독이 없는 해파리들은 다 먹을수 있는건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독이 없다고 해서 모든 해파리를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독이 없더라도 식감이 질기거나 맛이 좋지 않은 해파리가 많습니다. 해파리 냉채에 사용되는 해파리는 주로 보름달물해파리, 숲해파리 등으로 특유의 식감과 맛 때문에 식용으로 선호되는 것입니다.또한 대부분의 해파리는 단백질 함량이 낮고, 특별한 영양소가 풍부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맛도 없는데 영양 가치까지 낮다면 식용 가치는 더 떨어지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고유종은 무엇인가요?
네, 갈라파고스 제도는 지리적 고립 때문에 수많은 고유종들이 독자적으로 진화해왔습니다.갈라파고스 자이언트 거북의 경우 지구상에 서식하는 거북 중 장수거북 다음으로 몸집이 크며, 평균 수명이 100년 이상으로 매우 오래 사는 종입니다. 특히 섬마다 등껍질 모양이 다르게 진화했는데, 이는 먹이를 얻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죠. 예를 들어, 땅에 있는 풀을 뜯는 종은 등껍질이 돔형이지만, 선인장 등을 먹기 위해 목을 길게 빼야 하는 종은 등껍질 앞부분이 안장처럼 굽어 있습니다.또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의 경우 몸길이가 최대 1.5m에 달하는 대형 도마뱀으로, 주로 선인장의 꽃과 열매를 먹는 초식성입니다. 낮에는 화산암 위에서 일광욕을 하며 체온을 올리고, 밤에는 굴속에서 잠을 자며 체온을 유지합니다. 수명은 60~69년 정도입니다.갈라파고스 바다 이구아나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바닷속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해양성 도마뱀입니다. 험상궂은 외모와 달리 주로 바닷속 해초를 먹는 초식성입니다. 바닷물을 통해 섭취한 과도한 염분은 코처럼 생긴 특별한 기관을 통해 뱉어내죠. 수중에서 최대 40분까지 숨을 참을 수 있으며 20m 깊이까지 잠수할 수 있는데, 바다에서 체온이 떨어지면 육지로 나와 일광욕을 하며 체온을 올립니다.갈라파고스 펭귄은 적도 부근에 서식하는 유일한 펭귄 종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작은 펭귄입니다. 훔볼트 해류를 타고 흐르는 어류를 먹이로 삼으며, 작은 몸집에 짧은 깃털로 덮여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현재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마지막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갈라파고스 핀치새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큰 영감을 준 새로 유명합니다.갈라파고스 제도에는 13종류의 핀치새가 서식하며, 각 섬의 환경과 먹이에 따라 부리 모양이 다양하게 진화했습니다. 열매를 먹는 핀치새는 굵고 강한 부리를, 꽃을 먹는 핀치새는 길고 날카로운 부리를, 바위틈에서 먹이를 찾는 핀치새는 섬세하고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죠.이 외에도 갈라파고스 가마우지, 즉 날지 못하는 가마우지라던지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물개, 푸른발부비새 등 다양한 고유종들이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러브버그는 먹이사슬에서 최하위급으로 알고 있는데 왜 자꾸 늘어나는 건가요?
가장 큰 이유는 중 하나는 기후변화로 개체수 자체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또 러브버그 암컷은 한 번에 100~350개의 알을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번식력 자체도 높은 편입니다.게다가 러브버그는 국내에서 천적이 없거나, 천적이라 할 수 있는 동물들도 러브버그를 새로운 먹이로 인식하고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물론 일부 조류가 러브버그를 먹기도 하지만, 폭발적인 개체수 증가를 감당할 만큼의 포식 활동은 아직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또한 과거 다른 해충의 방역을 위해 살충제를 과도하게 살포하면서, 러브버그뿐 아니라 이들을 포식하는 다른 곤충들까지 함께 사라져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러브버그 개체수 조절이 어려워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살충제는 먹이사슬 하위 개체보다 상위 포식자에게 더 치명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