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장수말벌이 어떤 외국지역에서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나요
장수말벌은 현재 북미지역에서 위용을 떨치고 있습니다.특히 미국 워싱턴주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에서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지역에서 장수말벌은 꿀벌을 포함한 다른 곤충들을 잡아먹어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국내 꽃게중에서 어떤 외래종이 번식하면서 먹고 있나요
예상보다 꽃게 중에서는 외래종이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꽃게는 토종인 '참꽃게'입니다.물론 외래종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톱날꽃게의 경우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 발견되는 외래종으로, 생태계 교란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크게 번식하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수산자원으로서 관리하기 위한 논의까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그리고 푸른꽃게는 최근 이탈리아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도 발견 기록은 있지만 아직까지 널리 번식하거나 소비되는 단계는 아닙니다. 오히려 한국인의 게 소비량을 고려했을 때, 국내 유입 시 귀한 대접을 받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결국 현재까지 국내에서 외래종 게가 토종 꽃게를 대체할 만큼 번성하지도 못했고, 흔히 소비된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등검은말벌이 국내에서 어떤 말벌과 경쟁하고 있고 밀리고 잇나요
등검은말벌의 가장 큰 경쟁자는 어느 하나를 특정하기 보다는 국내 다양한 토종 말벌입니다.말씀하신대로 초기에는 포식성이 강한 장수말벌 때문에 등검은말벌의 확산 속도가 우려만큼 빠르지 않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하지만 등검은말벌은 꿀벌 사냥에 특화되어 있어 양봉 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현재는 특정 토종 말벌에게 밀리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하와이에서는 왜 모기가 없었고 언제 유입되었나요
말씀하신대로 하와이는 섬이 생겨날 때부터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원래 모기가 없었습니다.그리고 최초로 하와이에 모기가 유입된 것은 1826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당시 라하이나 항에 정박했던 한 외국 포경선에 의해 남방집모기가 유입되었고, 하와이의 따뜻하고 습한 기후 덕분에 빠르게 번식하여 섬 전체로 퍼져나가게 되었습니다. 이후 약 150년 동안 4종의 모기가 더 하와이에 유입되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바라기는 정말로 태양을 따라 움직이나요?
모든 시기에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어린 해바라기가 꽃이 피기 전에는 실제로 하루 종일 태양을 따라서 움직입니다.즉, 말씀하신대로 오전에는 해가 뜨는 동쪽을 향하고 낮에는 태양이 남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쪽으로 천천히 움직이고, 오후에는 해가 지는 서쪽을 바라봅니다.하지만 해바라기가 완전히 자라 꽃이 피고 씨앗이 맺히기 시작하면 더 이상 태양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대부분 동쪽을 향한 채로 멈춥니다. 이는 해바라기가 어릴 때는 햇빛을 최대한 많이 받아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이고, 다 자란 후에는 동쪽을 향하는 것이 벌과 같은 꽃가루 매개자를 유인하는 데 더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3263273283293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