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능이 높은 동물들은 사냥 방식에서 주로 어떠한 전략을 택하나요?
동물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보통 주변 환경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냥을 하는 특징을 가집니다.대표적으로 돌고래나 늑대, 침팬지 등이 있습니다.돌고래는 무리를 이루어 물고기 떼를 포위하고, 소리를 이용하여 물고기들을 한 곳으로 몰아넣는 방식의 협력적인 사냥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복잡한 의사소통을 통해 역할을 분담하고, 효율적으로 사냥을 수행하는 것이죠.늑대 또한 무리를 이루어 사냥하며, 각 개체가 역할을 분담하여 큰 먹잇감을 사냥합니다. 예를 들어 먹잇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매복하거나 추격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죠. 참고로 늑대는 높은 사회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높은 지능의 대명사인 침팬지는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흰개미를 잡거나, 돌을 이용하여 견과류를 깨는 등 도구를 사용하여 사냥합니다. 특히 환경에 따라 다양한 도구를 제작하고 사용하며,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Q. 오이는 과일이고 토마토는 채소라는데 뭐가 맞나요?
사실 과일과 채소를 나누는 기준은 상당히 복잡합니다. 특히 생물학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부분도 포함되어 분류된 경우가 많은데, 토마토가 그런 경우입니다.생물학적 식물학적으로 분류를 하면 과일이란 씨방이 발달하여 형성된 열매를 의미하는데, 다시 말해 꽃이 진 후에 열리는 열매는 모두 과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채소는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을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이 기준으로 보면 토마토와 오이는 모두 꽃이 진 후에 열리는 열매이므로 식물학적으로는 과일에 속합니다.그러나 토마토가 채소로 분류되는 데에는 세금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이 있습니다.1893년 미국에서는 토마토 수입 관세를 둘러싼 유명한 재판, '닉스 대 헤든' 사건이 있었는데, 당시 미국은 수입 채소에 관세를 부과하고 과일에는 면세 혜택을 주었는데, 토마토 수입업자가 토마토를 과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토마토가 주로 요리에 사용된다는 점을 근거로 채소로 판결했습니다.이 판결은 토마토를 채소로 분류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고, 이후 미국에서는 토마토를 채소로 간주하게 된 것입니다.
Q. 식물은 다들 꽃이 피는데 대나무도 꽃이 피나요?
네, 대나무도 꽃을 피웁니다.다만, 다른 식물과 달리 대나무는 일생에 한번만 꽃을 피우는 식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꽃을 피우는 주기가 매우 길기 때문입니다.대나무의 꽃은 종류에 따라 3년, 4년, 20~25년, 30년, 60년 또는 120년마다 핀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5월에서 8월 사이에 피며, 꽃의 모양은 벼나 보리의 이삭과 비슷합니다.그러나 꽃이 피면 대나무는 생명력을 다해 말라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