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각정보를 처리할때 우리에너지 소요가 많이 드나요
가장 큰 이유는 뇌가 많은 일을 하기 때문입니다.은 초당 엄청난 양의 시각 정보를 받아들입니다. 뇌는 눈에 받아온 색상이나 형태, 움직임, 깊이 등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합니다.게다가 망막에서 시작된 시각 정보는 시상, 시각 피질 등 뇌의 여러 영역을 거치며 복잡한 과정을 통해 해석되는데, 단순한 이미지 인식뿐만 아니라, 물체 인식, 얼굴 인식, 공간 지각, 움직임 예측 등 고차원적인 인지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고 이 때도 뇌는 상당한 수준의 일을 하게 되죠.또한 이러한 정보 처리 과정에는 수많은 신경 세포들이 활성화되고,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며 신호를 주고받습니다. 이 모든 과정에 에너지가 필요합니다.그래서 뇌는 우리 몸 전체 에너지 소모량의 약 20%를 차지하는데, 그중 상당 부분이 시각 정보 처리에 할당되는 것입니다.
Q. 가만히 자게될경우 왜 혈전이 많이 생기나요
사실 잠자는 동안의 움직임은 혈전 생성과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먼저 혈액이 느리게 흐르거나 한 곳에 고여 있을 때 혈소판과 응고 인자들이 뭉쳐 혈전이 생기기 쉽습니다. 그래서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한 자세로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아마도 말씀하신 것이 한 자세로 누워 있는다라는 의미인 듯 하지만, 정상적인 수면 중에도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약간이라도 뒤척이게 됩니다. 이는 혈액 순환을 돕고 특정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자연스러운 신체 반응입니다.게다가 잠자는 동안에도 심장은 계속해서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시키고 있는데, 팔다리에 혈액이 일시적으로 고여도 전신 순환 자체는 계속됩니다.그래서 만약 어떤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침대에서 장기간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이는 혈액 순환 정체를 유발하여 혈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긴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수면과는 다른 특수한 상황입니다.결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잠을 잘 때 뒤척이지 않고 가만히 잔다고 해서 혈전이 많이 생긴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Q. 동물중에서 한번에 통잠을 자는 경우가 있나요
사람처럼 한번에 자는 동물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동물도 있죠.사람처럼 통잠을 자는 대표적인 동물이라면 포식자의 위치에 있는 사자나 호랑이 등입니다.이런 육식동물은 먹이를 사냥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천적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게 긴 시간 동안 깊은 잠을 잘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하루 중 상당 부분을 잠자는 데 할애하기도 하는데 사자는 약 13시간, 호랑이는 약 16시간을 잠을 잡니다.통잠을 자지 않거나 짧게 자는 동물이라면 대부분 피식자의 위치에 있는 초식동물이나 작은 설치류 등입니다.이런 동물들은 천적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길게 잠들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번 잠을 자거나, 서서 잠을 자기도 합니다.결론적으로, 사람처럼 한번에 쭉 통잠을 자는 동물도 있지만, 이는 대부분의 동물에게 일반적인 경우가 아닙니다. 동물의 수면 방식은 생존 전략이나 환경, 천적 유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진화한 것입니다.
Q. 장수말벌은 벌중에서 가장 큰 말벌인가요?
네, 장수말벌은 현재까지 알려진 말벌 중에서 가장 거대한 말벌이 맞습니다.그래서 세계에서 가장 큰 말벌이라는 수식어가 자주 붙는 말벌이죠.장수말벌 여왕벌의 크기는 일벌보다 상당히 큽니다. 일반적인 일벌은 보통 35~40mm 정도이지만, 여왕벌은 50mm 이상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즉, 장수말벌은 몸길이 3.5~4.5cm, 날개 편 길이 7.5cm에 달하며, 특히 여왕벌은 그보다도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합니다. 더 체감적으로 말씀드리면 드론과 비슷한 크기의 벌이 날고 있다면 장수말벌입니다.
Q. 해충과 익충으로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생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단지 인간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해당 생물이 인간에게 이로움을 주는지, 아니면 해로움을 주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해충의 정의는 인간의 생활이나 농업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곤충이나 작은 생물들을 말합니다.그래서 해충의 개념은 사회경제적 여건이나 지리적 차이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인위적인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서는 해충이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또한, 같은 종이라도 발육 단계에 따라 해충이 되기도 하고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마찬가지로 익충의 정의는 직간접적으로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이로운 곤충이나 작은 생물들을 말합니다.익충 역시 인간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생긴 개념입니다. 하지만, 그리마 처럼 바퀴벌레의 천적이지만 외형이 징그럽다는 이유로 익충임에도 불구하고 해충 취급을 받기도 합니다.결론적으로, 해충과 익충은 해당 생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인간 중심적인 주관적인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