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추가근무 수당을 청구할 수 있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재 노무사입니다.휴게시간 없이 근로하셨다면 휴게시간은 실질적으로 근로시간에 해당하여 유급시간으로 산정되어야 할 것입니다.다만, 이러한 주장은 휴게시간에도 일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하셔서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임을 입증하신 후에 추가 수당을 청구할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랍니다.근로자들의 동의나 협의없이 일방적으로 휴게공간에 cctv를 설치하였다면,설치의 이유를 질의하시고 이에 대한 근로자들의 고충을 잘 전달하여 해당 사안을협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30인 이상의 사업장의 경우에 사내 카메라 등 설치는 협의사안에 해당하여 철거 관련하여 이야기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선생님과 같이 소규모 사업장에 법적으로 카메라 및 보안시스템 설치 자체에 대하여 제재를 가하거나 적극적으로 철거를 요구할 수 있는 방안은 사실상 요원한 것으로 보입니다.
Q. 야근 수당 근로자가 요구하면 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덕재 노무사입니다.기본적으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야간근로수당은 근로자의 요구가 없더라도 야간근로가 발생하면 지급되어야 합니다.대체휴가는 법적인 용어는 아니고 보통 실무에서 편의에 따라 부르는 것으로 근로자를 연장, 야간, 휴일 근로를 시킨 뒤에 다른 근로일에 쉬도록 하는 인사제도입니다.취업규칙에 대체휴가를 규정하는 사안은 해당 내용을 직접 보고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회사에서 규정한 것이 대체휴가인지, 근로기준법상 보상휴가제인지 문제가 되기 때문입니다.간략하게 참고차 말씀드리면 대체휴가는 사전에 제도를 마련할 필요는 없고 사후적으로 대체휴가를 지급해도 가능한 것이지만, 보상휴가제가 적법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사전에 규정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규정을 다시 살펴보시거나 회사에 질의를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Q. 5인이상 사업장 법정연차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덕재 노무사입니다.1. 연차휴가는 1년 미만의 경우 11일, 1년 이상인 경우 15일 / 2년마다 1일씩 가산됩니다.2. 연차수당 금액에 대략적인 감을 잡아드리기 위해 예시를 안내드리겠습니다. 연차휴가 입사일 기준발생 , 연차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면2019.6 ~ 2020.5, 11일 연차2020.6 ~ 2021.5, 15일 연차, 11일 연차수당(19년 11일)2021.6 ~ 2022.5, 15일 연차, 26일 연차수당(19년 11일 + 20년 15일)2022.6 ~ 2023.5, 16일, 41일 연차수당(19년 11일 + 20년 15일 + 21년 15일)2023.6 ~ 2024.6, 16일, 46일 연차수당(20년 15일 + 21년 15일 + 22년 16일)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연차수당 청구는 가능합니다. 다만 근로계약서 미작성 및 미교부는 근로기준법 위반사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