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일단꾸준한라쿤
일단꾸준한라쿤

전세계약 어떻게해야할까요????

부모님집으로 이사가기로 11월말에 전세계약을하기로해씁니다

근데 지금 살고있는 월세집이 내년4월까지가 계약일인데요.

부모님집에 계약을 하면 전입신고를 바로 해야하나요?

아니면 계약할때 돈은 먼저주고 전입신고는 안해도되나요?

전입신고를 하게되면 현재 살고있는 집에서의 계약이 문제가 생길까봐 어떻게 해야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원래는 이사가는 집의 전세보증금의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을 위해서 전입신고를 해야 하는데 임대인이 어머님일 경우

    전세보증금 회수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기존 월세집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리를 위해서 전출을 하시면 안됩니다.

    기존 월세집 계약 만료 후 보증금 회수 후에 어머님집 전입신고를 하시는게 안전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모님 집으로 이사하기 위해 전세계약을 하신다면, 전입신고에 대한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전입신고 시기**: 전입신고는 계약을 체결한 후, 실제로 이사한 날에 맞춰서 하시면 됩니다. 즉, 계약을 하고 돈을 지불한 후에도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으므로, 전입신고는 이사한 날에 맞춰서 하시면 됩니다.

    2. **현재 월세 계약**: 현재 살고 있는 집의 계약이 내년 4월까지 유효하다면, 전입신고를 하지 않고 계속 거주하실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현재 집에서의 계약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사하기 전까지는 전입신고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계약서 확인**: 현재 월세 계약서에 중도 해지 조항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중도 해지가 가능하다면, 이사 일정에 맞춰 계약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4. **부모님 집 계약**: 부모님 집의 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서에 명시된 입주일에 맞춰 이사하고 전입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부모님 집 계약을 하고 돈을 지불한 후에도 현재 집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으며, 이사한 날에 전입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현재 집의 계약이 끝나기 전까지는 전입신고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양쪽집 모두에 권리를 주장할 수 없어 고민하게 되지만 부모님 집으로 이사가는 경우라면 이사가는 쪽은 걱정할 필요가 없으니 보증금을 돌려받을 때까지 먼저 살던집에 주민등록을 남겨두면 되실 것입니다.

  • 부모님집으로 이사가기로 11월말에 전세계약을하기로해씁니다

    근데 지금 살고있는 월세집이 내년4월까지가 계약일인데요.

    부모님집에 계약을 하면 전입신고를 바로 해야하나요?

    ==> 우선적으로 보증금 대출을 받았다면 전입신고를 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 나중에 전입신고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아니면 계약할때 돈은 먼저주고 전입신고는 안해도되나요?

    ==> 질문자님의 자금으로 계약을 하였다면 전입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전입신고를 하게되면 현재 살고있는 집에서의 계약이 문제가 생길까봐 어떻게 해야좋을까요??

    ==> 그렇습니다. 기존 주택에 보증금을 받을 때 까지 그대로 주민등록지를 두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본인의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

    지금 살고 있는 집의 보증금을 위해서는 전출을 하면 안되고 보증금을 받고 전출 하는게 맞습니다

    부모님집으로 언제 입주를 하는지 모르겠지만 살던집 보증금받고 다음집으로 전입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모님 집으로 전세 계약을 하는 것이기에 전입신고를 바로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사시고 있는 월세 집이 문제인데 임대인과 원만하게 먼저 해결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내년 4월까지 월세 계약이 되어 있어 이 부분을 협의를 먼저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