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택분양이 올해 거의 없는데 왜이럴까요?
안녕하세요.
뉴스에 보니까 우리나라의 최대도시인 서울에 공공주태분양이 거의 없더라구요. 왜 이렇게 공공주택 분양시장이 위축되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분양주택에는 아직도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고 있는데, 고금리에 이은 자재비와 인건비 등 원가 상승으로 인해 건설사들이 수지가 맞지 않아서 이런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해 공공분양 주택이 줄어들고 있으며 심지어 진행중이던 단지가 취소되는 경우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서울의 경우 택지가 부족합니다. 최근 서울시에서 그린벨트를 해제를 하는 이유도 이러한 이유로 풀이가 되고 고금리의 장기화로 인한 대출이자 상승, 건설자재비 증가등으로 건설이 위축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하여 재개발/재건축, 공공임대 확대등의 공급을 늘릴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환율 급등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공공주택분양도 위축이 된 모습입니다.
공사비 급등으로 주택 공급이 위축이 되니 공공주택도 같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땅면적이 좁아서 재개발,재건축으로 공급을 해야 되는데 모든비용이 너무많이 올라서 분양자체가 힘든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몇년동안 공급물량이 부족했는데 자금은 더한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올해까지는 공급물량이 그나마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유는 주택건설의 경우 건설을 시작하고 실공급까지 2~3년이 소요되는데 해당시기에 부동산 시장침체와 물가인상이 맞물리면서 진행중인 건설건이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이러한 공급감소의 영향이 내년부터는 직접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줄것으로 보이기 떄문입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도 외국계 기업에 대한 임대사업 규제를 완화하여 민간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려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