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적금을 부모 명의로 가입하는 경우와 아이 명의로 가입하는 경우 혜택 차이??
아동 적금을 부모 명의로 가입하는 경우와 아이 명의로 가입하는 경우 혜택 차이가 있는지 세금이나 이율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아이 명의로 가입하는 것이 세제혜택과 장기적 자산형성 측면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바로 세제혜택부분이 가장 크다는 점이며 또한 증여세 목적으로도 좋습니다.
구체적으로 증여자 1인당 미성년자는 10년간 2,000만원까지 한도(성인은 5000만원 한도)가 정해져있는데 부모가 자녀에게 돈을 넣어주는 것은 이런 한도범위에서 조절한다면 효과적으로 증여세를 줄일 수가 있습니다. 또한 시중은행은 자녀에 대해서 적금이나 예금가입시 추가혜택을 주는 경우가 많고 이런 특정 상품도 많습니다. 또한 비과세 혜택인 이자소득세 면제나 세금우대 혜택등이 있으므로 아이명의 가입을 노리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동적금이라는 개념자체가 아이의 명의로 적금 통장을 개설 했을 때의 혜택을 말합니다
과거에 부모의 명의로 가입을 했어야 했거나 직접 방문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융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개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명의로 가입을 하게 된다면 이는 2천만원까지 비과세 적용이 되지만, 부모의 입장이나 명의로 가입하게 된다면 이는 세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비과세의 혜택을 보기 힘들 것으로 보이며, 아이의 명의일 경우 정책적으로 월복리의 지원이 되는 부분이 있어, 아이의 명의로 가입을 진행하시는 것이 보다 효과가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떄문에, 이부분에 대한 고려를 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이름을 적금을 넣을때 아동우대 적금등의 적금상품을 이용하면 이율적인 면에서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에게 일정금액 이상을 적금으로 넣게 되면 증여세등 세금을 납부해야 할수 있습니다.
이런면들을 고려해서 아동적금을 가입하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녀 명의는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이나 이벤트 우대금리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부모 명의는 관리가 편하지만 세금이 부과됩니다. 가능하면 자녀 명의로 개설해주는 것이 장기적 혜택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아동 적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아동 적금이란 특별한 제도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둘의 차이는 없습니다.
이자율도 세금도 동일하게 적용이 됩니다.
단, 은행에 따라선 부모가 자녀의 계좌를 개설해주면 10,000원 정도
주는 그런 이벤트가 있는 곳들이 있기는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