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재활·물리치료

대찬에뮤70
대찬에뮤70

내나이60입니다.체력에는 자신있는데그어느날부터인가 왼쪽종아리뒤근육에 경련이자주발생합니다.특히새벽녘에 빠짐없이경련이일어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60
기저질환
당뇨
복용중인 약
당뇨약

제목에서설명드렸듯이 이젠오는쪽종아리근육도 마찬가지로 일어나구요 어떨땐 양쪽다그런적도있었습니다. 정형외과에가봐야될까요?

특히왼쪽경련은 진정되고나면그후유증으로 파스를붙여야될정도로 아픔이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종아리 경련으로 인해 불편이 많으시군요

    근육 수축으로 인한 경련 증상으로 원인은 다양합니다.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피로, 스트레스, 음주, 카페인 과다 섭취 시, 신경장애, 디스크, 당뇨, 혈관장애 발생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이나 칼슘의 영양소가 부족하신 경우에도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경련이 일어난 근육을 반대로 늘려주어 수축된 근육을 스트레칭과 마시지로 풀어주는 것이 좋으며 스트레칭을 할 때는 천천히 해야 합니다

    높은 굽의 구두나 오래 앉아 있거나 서 있는 활동, 청바지 등 꽉 끼는 의류는 혈액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틈틈이 휴식을 취하시고 스트레칭자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전후에 가벼운 준비운동과 마무리을 해주시는 것이 좋으며 주무시기 전에 따뜻한 족욕이나 온찜질도 도움이 되실 겁니다.

    증상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통증의학과, 신경과, 재활의학과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도움되시는 정보 많이 얻으시고 건강한 몸관리 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김지훈입니다.

    해당 증상은 종아리 근육이 단단하게 뭉쳐있을 때 자주 나오는 증상입니다.

    가까운 정형외과에 방문하셔서 근 이완제를 처방 받거나 물리치료나 도수치료, 주사치료 등을 통하여

    뭉친 근육을 풀어주시면 되겠습니다.

    1명 평가
  • 생각보다 자주 올라오는 질문 입니다.

    혹시 평소에 허리 디스크 질환이 있거나 통증이 있었을까요?

    그랬던 적이 없고 일시적이고 금방 완화가 된다면 걱정 안하셔도 되고 해당 증상이 반복되거나 기존에 허리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허리 디스크 or 협착으로 인한 방사통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경우엔 정형외과/재활의학과 등 허리 진료 가능 한 곳에서 진료 후 정확한 진단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운동을 심하게 했거나 과도한 스트레칭등 했을때 일시적으로 허벅지 뒤 햄스트링 근육이 긴장 되는경우도 있으니 필요하다면 폼롤러 등을 이용해 허벅지 뒤 근육을 스트레칭 해보는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1명 평가
  • 우선 경련과 체력은 연관이 없습니다. 체력이 떨어져서 경련이 생기는건 아니니 이 부분은 속상해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건강이 이상이 없는 상황에서도 한 자세를 오래 하고있다보면 근육에 경련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작성자분이 이야기하시는것처럼 경련이 근육에 힘을주는 자세가 아닌데도 자꾸 발생하고 자주 생긴다면 병적인 경련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저나트륨혈증, 저칼슘혈증, 비타민부족, 허혈, 신경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앞에 세가지는 식사를 잘 못챙겨 먹으시다보면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는 문제여서 증상도 오래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병원들에서는 혈관문제, 신경문제 두가지에 대한 평가를 하게됩니다.

    허리통증이 있으시다면 디스크탈출과 관련된 신경뿌리병증의 가장 초기 증상일 수 있겠습니다.

    혈관은 혈관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실 수 있고 신경은 원인이 허리에서의 신경압박이냐 말초신경이냐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종합적으로는 재활의학과나 신경과에서 볼 수 있겠습니다. 이외에 신경외과나 정형외과에서도 진료가 가능은 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야간 종아리 경련은 전해질 불균형, 탈수, 혈액순환 문제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반복적이거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 또는 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수분섭취, 스트레칭, 마그네슘 보충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