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기다렸어요 이제는 맘에드는 아파트를 매수해도 될까요?
지금이 저점이라 생각하는데...더이상 더 떨어질지도 모르겠고...?
24년 아파트 집값 전망이 어떻게 될까요?
아님 좀더 기다려 보는게 좋을까요?
19~22년까지 급등하고 23년에 급락하고 24년은 좀 옆으로 가는 안정기가 아닐까 합니다.
총선도 끝났고 지선이나 대선도 기간이 좀 남아서 정치적인 이슈도 크게 없을듯하고 당분간은 미국 금리 여부 지켜보면서 숨고르기 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지금이 저점이라 생각하는데...더이상 더 떨어질지도 모르겠고...?
24년 아파트 집값 전망이 어떻게 될까요?
아님 좀더 기다려 보는게 좋을까요?==> 24년 아파트 전망은 기준금리가 안정화되는 시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부터 아파트는 급등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상황에서도 급매물이 있는 경우 가급적 매수를 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아직은 시장을 관망하는게 맞을 듯 보이고, 실거주를 위한 경우라면 본인의 자금조달계획이나 유지가능성등에 문제가 없다면 원하시는 매물이 나올 경우 매매를 진행하시는것도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이유는 투자의 경우 현 부동산 상황이 불안한점과 임대차등을 통해 유지를 해나아가야 하는데, 임대차에 가능성이나 단기간 주택가격상승등은 현시점에서 부정적으로 보이기 때문이고, 실거주의 경우는 주택가격을 떠나 개인에게는 주거안정효과와 장기거주를 통해 장기적인 부동산 흐름에 따라 유연성 있는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매수 여부를 결정하실 때는매수하고자 하는 지역의 인구 밀도, 경제 성장, 교통 인프라 등을 분석하여 장기적인 발전 가능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해당 지역의 유사한 아파트들의 가격을 비교하여 적정 가격을 판단해야 합니다.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매수하는 경우, 대출 상환 능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출 금리가 상승하거나, 소득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대출 상환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여, 매수 시점이 적절한지 판단해야 합니다.
지극히 주관적이라 정확하게 파악할수는 없어요.
지금이 저점으로 보이긴 합니다.
더 떨어질지 오를지는 신의 영역입니다.
최근 미국의 금리가 상승은 멈추고 올해 안에 잘하면 금리 인하 2번 정도 한다고 하죠,
그리고 우리나라 금리도 현재 상승은 멈추고 인하의 조짐이 보입니다.
부동산 하락기의 3대 요소가 고금리, 정부의 부동산 규제, DSR대출 규제라고 볼 수 있는데
서서히 금리가 내리는 조짐이 보이면 어느 정보 보합 내지는 저점이라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만,
뭔가 조금 더 조정이 있을건지, 아니면 바닥인지는 참 구별하기는 어렵습니다.
한가지 분명한 지표는 금리는 꼭지라른 것, 좋은 판단하셔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전문가들은 26년도 부터는 오른다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서울은 올해나 내년까지는 입주물량이 조금 있는데 26년도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때부터 오를거라 예상하고 있으니 지켜보고 계시다 급매가 있므면 기회를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가격전망은 내로라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릴 정도로 예측이 어렵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지금이 적기라 생각합니다. 현재 서울 전세가 부족합니다. 전세부족은 전세가를 올리고 매매가 상승을 부추깁니다. 곧 또 오를거라 봅니다. (서울 수도권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