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영민한바다사자109
영민한바다사자109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8살 아이입니다. 아이가 친구들에게 잘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어떻게 격려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를

    어떻게 하면 도와줄 수 있는지 그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 좋겠습니다.(양육자가 모델링이 되어 주는 것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들이 편안하게 느끼는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격려하세요. 작은 모임이나 활동에 참여하게 해주고, 긍정적인 사회적 경험을 쌓도록 도와주세요. 관심사를 공유하는 친구를 찾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구와 잘 어울리 못하고 혼자 지내는 아이들의 원인은

    대부분은 기질적인 특성이 문제가 됩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심하고, 소극적이고, 부끄러움이 많고, 쑥쓰러움이 많고, 조용하고, 낯가림이 심하고, 내향적인 성향이 짙다 라고 한다면 이러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친구에게 다가가는 것 부터 시작을 하여 친구와 소통하는 것을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친구와 함께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아이와 역할극을 함께 하면서 친구에게 다가가는 방법, 친구와 놀이 및 대화 시 상황에 맞는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와 이야기를 하면서 친구와 지내는데 어떤점이 불편한지 파악하는것이 좋으며

    이후에 이러한부분에 대해서 서로 이야기하고 연습하면서 수정해나가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연습할 수 있는 역할 놀이를 해보세요. 친구와의 대화, 사교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연습하면 자신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아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거나 혼자 지내는 것을 선택하는 이유를 물어보세요. 무엇이 그를 불편하게 느끼게 하는지, 어떤 활동이 즐거운지 등을 들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혼자 있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시간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하고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면 부모로서 걱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상황을 해결하려면 먼저 아이가 혼자있는 것을 좋아하는 이유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부 아이들은 내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더 편하고 즐겁습니다

    이런 성격은 문제가 아니라 아이의 고유한 특징일 수 있으므로 이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친구들과의 교류가 부족하다면 사회적 기술을 배우고 연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친구를 사귀고 싶냐는 질문을 던져 아이의 생각을 한번들어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8살 아이가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 이는 다양한 이유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격이나 관심사, 또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그 원인을 파악하고,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면서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한다면, 그 이유가 외향적이지 않거나 다른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고, 그 선택에 대해 강요하지 말고 이해하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혼자 있는 시간이 좋구나. 그럼 언제 친구들과 함께 놀고 싶은지 말해줄래?"와 같이 아이의 생각을 묻고 공감해 주세요. 아이에게 친구들과 어울려야 한다는 압박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과도한 압박은 아이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더 불편하게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속도대로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기다려 주세요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는 바로 이렇게 지도해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못하고 혼자지내는것을 좋아한다면 친구들과 어울려 함께 노는 즐거움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