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순자산과 부동산 가격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이번에 최신 기사보니 대한민국 순자산이 가구당 3.4억이었나 그정도더라고요.
그런데 어떻게 지금 대한민국 집값은 10억을 넘어 15억 20억도 수두룩한건가요? 그럼 평균 가구당 10억정도씩 대출이 있다는 건데 이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한민국 가구의 평균 부채는 약 9,000만 원(2024년 기준)으로 집계됩니다. 즉 모든 가구가 막대한 대출을 보유하지는 않습니다. 고가의 부동산을 소유한 일부 가구가 대출을 많이 보유하는 경우가 있고, 무주택자나 자산이 적은 가구는 상대적으로 대출 규모가 적을 수도 있습니다.
즉, 대한민국 집값이 10억 원을 넘더라도 모든 가구가 평균적으로 10억 원씩 대출을 가진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특정 소득 계층과 다주택자에 부동산 가치와 대출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해당 수치는 평균을 하여 산출한 것이이므로 단순하게 해당 자산을 기준으로 서울주택가격을 대입하여 질문처럼 판단하는것은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평균에는 말그대로 높은 자산가와 저소득자도 포함되어 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석할때에는 대한민국순자산이 주택담보와 같은 대출제외한 순수 자산평균이 3.4억이 된다고 이해를 하셔야 하고, 사람에 따라 자산평균이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고,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자산을 소유한 사람들도 있기 떄문에질문과 같이 평균가구당 대출이 10억이라는 결론을 도출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다른 조사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민 가구동 평균 대출보유액은 9210만원으로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부동산 가격이 20억원이라고 20억원의 60%인 12억원이 대출이 있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했던 시기는 문재인 정부 시절이며 문재인정부 이전 시절 대비 2~3배이상 급등했습니다. 분당권의 경우 34평 아파트 6~7억원, 서울의 경우에도 7~8억원 정도 수준이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4~5억원을 대출 받아 아파트를 구입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은 5억원 전후라고 합니다
상위10%는 20억에서 30억이라고 하는데 예전부터 집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고 운좋게 좋은지역에 가지고 있어서 상위 10%에 해당이 된사람들이 많은거 같습니다
같은 서울이라도 집값차이가 너무많이 나고 있어서 소외감을 느낄거 같고 우리 후손들이 문제가 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순자산 규모는 부동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여기에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주식 채권 에금 관계 등 많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한 통계이므로 부동산 대출관계로만 분석하는데는 제한점이 있다고 봅니다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평균치가 6억-7억사리라고 봅니다
물론 주택담보 대출이 문제가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아파트 가격이 20억이상 되는 지역은 일부지역에 국한 되었다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은 고급주택부터 저가 주택까지 평균치를 낸 것이기 때문에 순자산과 비교하면 차이가 심해보이는 것이 당연합니다.
건물부터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순자산과 부동산 가격 단순하게 비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