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가 당일에 그만둔다고 하는데 다음 알바 고용전까지 일해줄 수 있는지 여부 관련해서 법이 있을까요?
알바가 전 날 무단결근 후 아침에 갑자기 일 그만두겠다고 하는데 알바 고용 전까지 그 시간에 들어갈 사람이 없어서 고용 전까지는 일해달라고 말하려고 하는데 이와 관련된 법이 혹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근로자에게 강제로 근로할 수 있게 하는 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대체자의 고용시 까지 근로를 계속하도록 강제할 수 있는 법은 없습니다. 다만 계약의 내용에 따라 계속 근무를 요구할 수 있고 지키지 않으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퇴사일에 대해 협의가 되지 않고 사직의 수리가 되지 않는다면 민법 제660조에 따라 근로자가 사직의 의사표시를
한 시점으로 부터 1개월이 지나면 사직의 효력이 발생하여 근로관계가 종료됩니다. 따라서 한달 정도는 근무를 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
사직일의 경우에는 사업주와 근로자간의 합의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상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라면, 민법 제 660조에 따라서 사직일이 정해지게 됩니다.
다만, 현재 근로자가 사직을 이야기 하고 출근을 하지 않는 경우라면 무단결근에 해당되게 됩니다. 무단결근으로 인해서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의 퇴직금이 저하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사업주님께서 이야기 하신 인력공백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에 대해서 근로자와 잘 이야기 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네. 안타깝지만, 강제근로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근로자가 계약된 근무를 반드시 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무단결근에 대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는 있으나, 실제로 인정되기는 쉽지 않습니다.
추가상담은 (유튜브 백노무사) 활용해주세요(댓글)
참고할 600개 이상의 동영상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
보통 근로자가 퇴사하려면 1개월 전에 퇴사 통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도 그때까지는 새로 후임자를 구해야 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계속 근무할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근로자의 경우 퇴직의 자유가 인정되므로 당일 퇴사 통보 후 출근하지 않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무단결근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근로자가 그냥 퇴사해 버리는 것을 강제로 막기는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안타깝지만 계약직의 경우 민법 제661조에 따라 부득이한 사정이 있으면 언제든 해지할 수 있고, 사용자 측에서 대체인력 구해질 때까지 요청하더라도 근로자가 응해야할 의무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