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옹골진도롱이161
옹골진도롱이161

육아휴직 직원이 4대보험 납부유예를 원하지 않을 경우 안해도 되나요?

육아휴직 직원이 4대보험 납부유예를 원하지 않을 경우 안해도 되나요?

아니면 회사 정책상 납부유예 및 납부예외(국민연금)를 강제할 수가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슬기 노무사입니다.

    육아휴직 기간에는 고용산재, 건강보험은 납부유예를 신청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국민연금의 경우에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노사 협의 하에 아래 두 가지 방법 중 선택할 수 있음

    • ① 별도 신고 절차 없이 육아휴직 직전 납입하던 연금보험료 그대로 납입

    • ② 사업주가 국민연금공단에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고’함

    • · 납부예외 기간은 연금보험료를 납입하지 않은 만큼 수급기간이 줄어듦

    • · 납부예외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국민연금보험료 정기결정 통지 전 소득총액신고서 제출해야 함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회사에서 해당 기간에 납부유예 등을 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보험료 절감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법상 4대보험 납부유예가 강제되는 것은 아닙니다.(납부유예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납부유예를 할지는

    회사에서 결정할 문제입니다. 근로자의 요구가 있다고 하더라도 납부유예를 할 수 없는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