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거주 의무화도 이제는 다 없어졌나요?
투기지역에서는 실거주 2년을해야 세금폭탄을 안맞는다는 얘기를 들었는데요.
요즘 분양나오는 아파트들은 실거즈 의무화가 아닌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규제지역 강남, 용산 등 빼고는 실거주 의무는 거의 사라진 상태입니다.
수도권에서 분양하는 단지는 대부분 실거주 의무는 없고 전매 제한 6개월 정도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실거주 거주의무는 규제지역 여부에 따라 아직도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다만 부동산 완화 정책에 따라 규제지역이 축소되면서 일부지역은 비규제 지역으로 구분되어 실거주의무가 없을수는 있습니다. 그리고 실거주의무는 구매당시의 해당지역의 규제여부를 기준으로 하고, 그외 분양가상한제 아파트등에서는 일정기간 실거주의무가 있을수 있습니다. 즉, 구축의 경우 부동산이 속한 지역의 규제지역 여부, 분양아파트의 경우 각 분양건마다 입주자모집공고상 실거주요건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에서 공급하는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과 토지 임대부 분양주택에는 아직도 실거주 의무가 적용됩니다.
현재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상한제는 2023년에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하고는 해제되었고, 실거주 의무는 폐지 대신 최초 입주 후 3년 이내로 완화되었습니다.
분양가격 80%미만에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인 경우 공공택지 5년, 공공택지외는 3년이 적용되며,
분양가격 80%~100%미만에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인 경우 공공택지 3년, 공공택지외는 2년이 적용됩니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적용지역내 공공재개발 사업주택은 2년이 적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실거주의무에 해당하는 분양아파트의 경우 올해 2월 국회는 실거주의무 이행을 3년간 유예 법안이 국회 통과되었으므로즉, 아파트 짓고 3년 내 실거주하면 됩니다.
폐지가 된 것이 아니고 3년가 유예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허가지역은 실거주의무기간이 있고 지금도 상한제 분양가를 적용하는데는 실거주 의무기간이 있을수 있습니다
그러니 분양공고문을 자세히 읽어봐야 합니다
어디든 분양은 공고문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투기를 막고 실거주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보유하거나 실거주 의무를 규정하고 됩니다
대개는투기과열지역에 대하여 조정지역으로 지정하여 실거주 의무기간을 공시하게 됩니다
조정지역을 지정하더라도 계속 아파트가격이 진정되지 않으면 토지거래 허가지역으로 묶어 가격을 통제합니다
요즈음 분양시 조정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않았다면 실거주 의무기감으로 규제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