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비교 질문 드립니다 알려주세요~
주담대 금리를 비교 하고 싶은데 어플이 따로 있나요?
은행에 직접 찾아 다니면서 발품 팔아야 하나요?
현재 아파트 1채를 가지고 있고 1채를 더 사고 싶으면 대출은 70프로나오나요 60프로나오나요?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은 전체은행의 대출을 비교해서 조금이라도 저렴한 은행으로 대출을 소개하는 대출상담사들이 있습니다
근처 부동산에서 대출상담사를 소개 받아서 먼저 상담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대출이 어느정도 나오는지 알고 다음진행을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인터넷에 보면 주택담보대출 비교 사이트가 많이 있습니다.
그곳에 가면 주택 물건지 주소 넣고 대출 한도와 금리를 알려 주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어플로는 카카오페이나 네이비페이등도 주택담보대출 주소지 넣으면 금리와 한도가 나옵니다.
또한 최근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서 1주택자의 경우 추가 매입 시 대출이 제한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요즘은 금리 조회 어플 사용해서 가장 낮은 금리 검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발품을 팔아도 어플로 조회하는 것보다 낮은 금리를 제시하는 은행은 거의 없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 1주택 보유 시 신용도에 따라 LTV한도가 달라지며 1주택 보유자에게는 LTV 60%으로 제한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담보대출 (주담대 ) 금리를 비교하고자 할 때 , 여러 금융사의 금리를 한눈에 확인하고 대출을 갈아탈 수 있는 앱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 금리비교 한눈에 ' 앱은 전세대출 , 주택담보대출 , 개인신용대출 등의 금리를 비교하고 계산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또한 네이버 ,토스 , 카카오페이 등 다양한 대출 비교 플랫폼을 통해 여러 금융사의 금리를 비교하고 대출을 갈아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의 온라인 대환대출 서비스를 제공하여 , 집에서 손쉽게 대출 상품을 비교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두 번째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경우 ,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 ( LTV ) 은 일반적으로 60%에서 70% 사이입니다.
다만 , 이는 지역 , 주택가격 , 개인의 신용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 정확한 비율은 해당 금융기관이나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