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마비로인해 한쪽팔을 못 움직일 때 어깨가 빠져도 경직되면 팔을 올릴 수가 있나요 ?
편마비로 인해 한쪽 팔을 못 움직이는 환자가 있습니다.
한쪽 팔을 못 움직이는데 어깨를 만져보니 어깨가 빠진 것 같습니다.
혹시 어깨가 빠져도 하품을 할때나, 대변을 볼때 같은 상황에서 힘을 주어야 할 때, 경직되어 팔이 올라갈 수가 있는건가요 ?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어깨가 빠진 상태여도 신경 반사나 근긴장에 의해 팔이 올라가는 현상은 생길 수 있습니다 하품이나 대변 시엔 복압 상승과 함께 반사적 근수축이 일어나면서 일시적으로 팔이 움직일 수 있어요 다만 이는 자발적인 움직임이 아닌 무의식적 근경직 반응이므로 기능 회복과는 다른 개념입니다!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편마비로 인해 팔이 빠져 보이거나 실제로 탈구가 되어있을 수 있습니다(주변 근육이 마비되어 탈구가 일어납니다). 그러나 강직현상에 의해서 팔이 올라가거나 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수의적인 움직임으로 인한 수축이 아닌 불수의적으로 긴장도가 높으면 어깨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것을 보상작용이라고도 하는데 의도한 움직임은 지금 신경손상으로 잘 안되실텐데 긴장이 되는 상태나 다른 힘든 움직임을 가져갈 때 힘을 주시다보면 근육이 긴장도가 올라가서 뻣뻣해질 수 있습니다.
좋은 정보 많이 얻으시고 고민해결 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편마비로 아탈구가 되어도 몸에 과하게 힘이 들어가는 경우 몸과 팔은 많은 근육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팔이 경직되어 굽혀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편마비 환자같은경우 근육의 경직이 심합니다
어깨가 빠진거같다고 하셨는데 근육의 약화가 일어나 오해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건 전문의에 상담이 필요합니다
어깨빠진경우 경직되어도 팔이 올라가긴 힘들지만 어깨 "으쓱"하듯이 승모근의 경직이되면서 팔이 올라가는거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치료와 재활은 신경계 재활병원, 대학병원에서의 치료적인 부분이 필요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