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찐찐이들맘
찐찐이들맘

이제 우리나라 금리는 하락 추세를 탔다고 볼 수 있는건가요?

어제 미국 금리도 많이 빠졌고 미국 제조업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물가 상승률도 더 상승할 것 같지 않던데 앞으로 그럼 우리나라 금리는 하락한다고 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히 기준금리가 빠진게 아니라 10년, 5년 국채금리가 빠진것입니다. 아지고 미국의 기준금리는 인하없이 동결상태로 유지중입니다, 최근 미국 연준에서도 금리인하를 시사하고만 있지만 아직 실질 인하는 없고 물가의 경우도 미국 소비자물가가 시장예상치로 나오고는 있지만 아직 추가 상승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가 실제 인하를 진행하고 우리나라와의 금리차가 줄어들게 되는 경우 우리나라도 금리인하를 진행할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올해 가능할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지만, 한국의 경우는 미국이 금리를 낮추더라도 현 금리차가 있기 때문에 더 가파르게 내리기는 렵고 즉각적으로 인하하기에도 부담이 되는 상황이긴 합니다.

  • 미국 금리가 하락한다면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미 금리가 5%가 넘어가도 우리나라는 경제나 부동산 충격등을 고려하여 3%대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일단 미국 금리 내려간 뒤에 우리나라도 바로 맞춰서 내려갈지는 추이를 좀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미국 물가와 노동 지표가 어느정도 안정권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은 더이상의 금리인상을 없다고 하고 올해 2차례 정도 금리인하를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우리나라도 물가가 안정이 되고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우리도 같이 내릴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 미국의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고 물가 상승률이 상승하지 않는다면, 미국의 중앙은행이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국제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의 금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금리 하락은 우리나라의 금리도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외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하므로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미국 금리는 빠지지 않았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계속 목표치 상향으로 나와 미국 자체적으로도 당분간 금리 하락할 생각이 없다 발표하였고

    애초 미국과 2% 금리가 벌어진 한국 입장에서는, 금리를 내리고 싶어도 불가능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미국기준금리는 아직 5.5%를 유지중이며 유럽쪽은 7월쯤 금리인하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3.5%로 미국이 금리인하를 한다고해도 우리나라는 당분간 인하는 어렵습니다.

  • 어찌됐든 미국의기준금리가 내려야 우리나라도 내릴텐데 전문가들은 9월달에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금리가 좀 내려준다면 그래도 경기가 좀살아 날수있다고 봅니다

    금리 내리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 네, 우리나라는 오늘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연율 +2.7%로 전월 +2.9%에 비해 하락했습니다. 아직 농산물 가격 등이 많이 상승했는데 이정도라고 하니 우리나라 소비도 좋지는 않을 겁니다. 우리나라도 물가 상승률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어 이르면 8월 정도면 기준금리도 내리고 이를 반영해 국내 금리도 하락 추세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