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350만원인 사람은 한달에 얼마정도 모으는게 적당한가요?
월급이 350만원인 직장인이라면 한달에 어느정도는 저축을 해야 적당한가요?
월급 350만원도 10년이상 저축을 꾸준히 한다면 경제적으로도 여유로워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생활비를 제외하면 200만 원 정도는 매달 저축이 가능할 거 같은데요 저 같은 경우도 300만 원 정도 벌 때에는 돈은 모으지 않았고 빚을지고 서울에 빌라를 샀습니다 지금은 저축한 것보다는 훨씬 많이 이득이 생겼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득이 똑같다고 하더라도 본인의 나이, 가족관계, 고정비 유무 등으로 저축 비중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저축금액을 결정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고정비가 얼마나 되는 지 입니다. 따라서 본인이 한달에 반드시 지출해야할 목록(월세, 핸드폰요금, 식대 등)을 정리하셔서 고정비를 파악 해 놓으시고 소득에서 고정비를 차감한 후에 비상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모두 저축하신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적으로 여유롭다는 것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350만원으로 꾸준히 저축하셔도 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350만원 한 달 수입을 버는 직장인이라면, 적어도 200은 넘게 저축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고정비가 많다면, 줄이는 쪽으로 계획을 짜야 합니다.
월급의 50% 이상은 저축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결혼을 하지 않았고, 혼자라면 최소 200만원 정도는 저축해야 한다고 판단되빈다.
만약 250만원씩 저축을 할 수 있다면 1년에 저축 금액이 3000만 원입니다.
10년이면 3억이니 경제적 독립은 되지 않더라도 충분히 경제적으로 조금씩은 여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대출상태 지출상태등등 여러감안요소가있긴한데요 일반적으로 소득의 30%정도인 105만원 정도는 저축하는 게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10년 이상 꾸준히 저축하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본가에서 거주중이시라면 월세나 기타 관리비들이 잘 안들고 식비도 아낄수가 있어서 사치만 안하신다면 200중반의 금액을 저축하실수가 있을것 입니다.
하지만, 그게 아니라 분가를 하신 상태라면 상대적으로 나가는 돈들이 많기 때문에 100정도를 목표로 저축을 하셔야 할것 같네요.
은행 예금으로만 저축을 하시면 1년이 지나도 그렇게 큰 금액이 안모일수가 있기 때문에 따로 투자를 하셔야 돈을 크게 모을수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달 350만원이면서 부채가 없는 1인 가구라면 최소 250만원을 적금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개인의 소비습관이나 성향에 따라 다르고, 고정비(통신요금, 관리비, 월세 등)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250만원에서 280만원까지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월급에 60-70프로 정도 저축하시면베스트하는거라 생각합니다
요즘 주변에서 보면 소득에 30프로도 저축못하는 분들도 많거든요 그러니 적어도 50프로 이상 저축을 하고 꾸준히만 한다면 그래도 나중에 목돈으로 뭐든 할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별도 주거비 등 고정 비용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최소 50~60% 정도는 저축하는 것이 좋으며, 결국 저축이 부자되는 가장 첫 계단이라는 점에서 저축 -> 투자 -> 경제적 자유 이 순서로 이해하시면 어렵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이 350만 원인 경우, 저축은 생활비, 개인 상황, 재정 목표 등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일반적으로 월급의 20~30% 정도를 저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매달 약 70~105만 원을 저축하게 되며, 이 정도면 생활과 재정을 균형 있게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10년 동안 꾸준히 저축한다면 어느 정도 경제적 여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달 100만 원씩 저축하면 10년 후 약 1억 2천만 원의 자산이 됩니다.
여기에 투자나 예금 이자, 적립식 펀드 등을 활용해 연 5~7% 수익을 낸다면 원금 이상의 성장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미혼일수도 가장일수도 있습니다.
일단 고정비용을 다 계산해서 가장 줄일수 있는 게 있는지 판단합니다. 어쩔수 없이 나가야하는 비용이 끝나면
저축의 목표를 세웁니다. 결혼을 하거나 아이들 학비등을 다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판단이 필요하죠
10년을 하신다고 하니 기준을 잡고 갑작스러운 일에 대비한 비상금도 마련후 최소한의 용돈을 계산합니다.
이정도를 제외한 전체 금액의 90%를 저축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목표설정이 쉽게 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
월급의 20~30%를 저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적당하다고 합니다
월급 350만원의 20~30%를 저축하면 매달 70~105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10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복리 효과로 인해 경제적으로 여유로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이 350만원이시고
나이대에 따라서 다르겠다고 볼 수 있고
가구의 구성원에 수에 따라서 다른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수입의 40~50% 정도는 저축 및 투자를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달에 월급이 350만원 정도이면 한달에 얼마 정도 저축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가족 구성원이 중요한데 가족이 있다면 50만원이라도 저축해야 하지만
혼자 사신다면 200만원 이상 저축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10년을 저축하신다면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