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분명히 잠이 쏟아지는데 떼쓰며 잠을 안자는 아이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아이가 분명히 올해 원래 자던 시간만 되면 눈이 감기고 잠이 온다고 먼저 방에 들어가는 스타일이었는데요. 지금은 잠이 쏟아져도 버티면서 안잔다고 합니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잠을 제 시간에 자지 않고 떼를 쓰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잠을 자기 위한 수면 의식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

    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처음에는 적응이 되지 않을 수 있겠으나 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수면재단이 권장하는 수면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취학 연령 아동(3~5세): 권장 10~13시간(종전 11~13시간) / 적당 8~9시간 또는 14시간 / 부적당 8시간 이하 또는 14시간 이상

    - 취학 연령 아동(6~13세): 권장 9~11시간(종전 10~11시간) / 적당 7~8시간 또는 12시간 / 부적당 7시간 이하 또는 12시간 이상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잠이 오는데도 버티고 자지 않고 있을 때는 아이를 데리고 들어가서 잠을 잘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으며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자는 습관을 들이시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버티고 자지 않을때는 지금은 잘시간이야 하고 방안을 어둡게 하고 아이와 함께 누워서 자장가를 불러주며 아이가 잠들때까지 토닥토닥 등을 두드려 주는 것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단 아이는 지금 많이 피곤하지만 더 놀고 싶은 마음이 커서 그럴 겁니다. 이럴 경우에는 먼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시고 받아주시는 게 필요합니다 아니가 더 놀고 싶어서 그렇구나 이런 식으로 말이죠 그리고 아이가 원하는 걸 한 가지 정도 같이 해주는 걸 추천 드립니다 독서를 하면 참 좋고 퍼즐 맞추기 나 그림 그리기 등 한 가지 정도의 간단히 해보는 겁니다. 그리고 이 약속이 끝나면 잠을 자야 한다는 걸 아이와 함께 정하는 것이죠. 이런 식으로 하면서 아이에게 잠을 자는 거에 자연스럽게 유도해 주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잠자리에 들어가기 싫어할 때는 매일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도록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취짐 시간은 신체 리듬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취침 전에 책 읽기, 따뜻한 목욕, 조용한 음악 듣기 등의 루틴을 만들어 주어도 아이들이 잠자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잠은 오는데 안 자려고 버틸려고 한다면 단호하게 말을 해주세요.

    잠이 오면 참지. 말고 잠을 자는 것이 옳아 라고 말이지요. 그리고 왜 잠이 오면 잠을 자야하고, 버티면서 잠을 안자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에게 잘 설명해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성인과는 다르게 잠이 온다고 바로 자지 않습니다. 하던것을 계속하기 위함인데 잠이 오는것을 억지로 참기 때문에 컨디션이 좋을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짜증을 많이 내는것인데 이럴때는 그냥 두지 마시고 아이가 잠을 잘 수 있도록 토닥여서 잠을 재워주거나 잠을 자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통 때는 자는 패턴이 있었는데, 루틴이 바뀌었다면 뭔가 원인이 있을 겁니다. 스트레스, 불안, 혹은 새로운 환경 변화등일 가능성이 있으니 먼저 찾아보시고요. 정해진 시간, 정해진 수면 장소를 만들어서 잠자기 전에 본인 방으로 들어갈 수 있는 환경을 다시한번 만들어 보세요. 이렇게 했는데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가정의학과에가셔서 상담한번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겁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아이 연령이 어떻게 되는지요. 낮잠을 자려고 하는건가요? 잠이오는데 안자려고 한다면 안자도 되는데 좀있다가 신나게 놀려면 휴식이 필요하니까 조금 누워 있으면 어떨까? 하고 물어보시고 어머님도 같이 누워서 10분정도만 토닥여줘보세요. 그게 잠투정이라면 잘꺼에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잠투정으로 보입니다 하고 싶은 것을 다하지 못한 불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엄마랑 좀 더 있고 싶은데 장난감 놀이를 더하고 싶은데 갑자기 잠이 오면

    놀고 싶다는 생각 때문에 잠을 참아 보려는 심리적인 생태 일수도 있어요

    최근에 잠을 자고 일어났는데 엄마가 보이지 않아 불안한 감정 일수도 있으며

    잠에 대한 안 좋은 최근 기억 때문 일수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