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아파트가 지어질때 대단지가 되는 조건이되려면 가구수가 어느정도 되어야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아파트가 지어질때 대단지가 되는 조건이되려면 가구수가 어느정도 되어야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정확히 대단지의 법적 개념이 뚜렷하게 있는것은 아니고 보통 천세대이상의 아파트를 대단지아파트라고 합니다.

  • 법적으로 대단지를 구분하는 기준세대에 대해서는 정해진 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중소형 아파트이 경우는 1000세대 이상 단지부터는 대단지로 보는게 일반적이고, 33평이상의 대형 평수로 구성되는 아파트의 경우는 500세대 이상을 대단지로 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종류의 평행이 단지내 포함되기 때문에 1000세대 이상을 대단지로 보시면 됩니다.

  • 대단지 아파트는 몇세대 이상이라는 기준은 사실 없습니다

    1,000세대만 넘어도 대단지라고 하는데 요즘은 워낙 대단지가 많아서 2,000세대 이상은 되어야 대단지라고 볼수있을거 같습니다

  • 아파트가 대단지로 분류되기 위한 가구수 기준은 150가구 이상은 어린이놀이터와 경로당을 단지 내에 설치해야 합니다. 500가구 이상은 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어린이집, 피트니스클럽, 작은도서관, 돌봄센터 등의 주민공동시설을 갖춰야 합니다.

    1000가구 이상은 서울시의 경우, 재가노인복지시설과 장애인복지시설을 포함할 수 있는 규정이 있습니다. 2000가구 이상은 초대형 단지로, 모든 주민공동시설을 ‘의무적으로’ 갖춰야 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의해 정해지며,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추가적인 주민공동시설 요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단지 계획 시에는 해당 지역의 조례와 규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대단지 아파트는 20평 중소형 기준 1000가구 이상, 33평 기준 500가구 이상일 경우 대단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통상 아파트를 지을때 대단지규모라고 부르는 기준을 세대 기분으로 볼때는 보통 1,000세대 정도 이상을 대단지라고 표현합니다.

  • 아파트 단지가 대단지로 분류되려면 보통 가구 수가 일정 기준을 넘어야 합니다. 이 기준은 지역마다 약간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습니다.

    1. 5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의 최소 기준으로 많이 언급되는 숫자입니다. 500가구 이상이면 여러 가지 편의시설과 부대시설이 갖춰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1,000가구 이상: 좀 더 넓은 범위에서 대단지로 분류되는 기준입니다. 1,000가구가 넘는 경우, 학교, 상가, 커뮤니티 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가 잘 갖춰진 경우가 많습니다.

    3. 3,000가구 이상: 대규모 대단지로 분류될 수 있는 기준입니다. 이러한 규모의 아파트 단지는 거의 하나의 작은 도시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편의시설과 넓은 녹지 공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단지 아파트는 규모가 큰 만큼 관리와 유지보수 측면에서 장점이 있고, 생활 편의성도 높습니다. 많은 가구 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과 시설이 제공되므로, 주거 만족도가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대단지 아파트로 불리기 위해서는 최소 500가구 이상, 더 일반적으로는 1,000가구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000가구 이상이 되면 대규모 대단지로 분류되어 더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어느정도 가구수를 대단지다 라고 정해놓은 기준은 없습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의 인식으로는 1,000세대는 넘어야 대단지로 보는 것 같기는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