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할때 계약에대해 문의합니다!!
네트제와 연봉제 어떻게 다르고 장단점이 뭔지 궁금해요…어떻게 계약하는게 좋은건지 문의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쉽게 표현하면 네트제는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임금을 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4대 보험료 및 세금이 얼마나 발생하든
계약된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지급하기로하는 약정을 의미합니다.
연봉제는 1년에 대한 대가를 정하고 이를 월 마다 지급하는 임금 지급형태를 의미합니다.
네트제는 매달 실수령액이 정해져 있어 예측가능성이 높으나 연말정산의 환급분의 귀속, 퇴직금 산정의 기초 등의 문제로 법적 분쟁가능성이 있습니다.
연봉제는 위와 같은 단점은 없으나 세금 및 4대보험료를 공제하고 차인액이 지급 되므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건보정산 등) 월급이 약간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네트(NET)제란, 근로자가 실수령할 금액을 근로계약시에 미리 정하고, 그 외 세금이나 4대보험료는 사용자가 부담하는 것을 말하며, 연봉제는 임금을 통상 일 년 단위로 계산하여 결정하고 매월 급여를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회사마다 채택하는 급여체계가 다르나 통상 병원업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네트제계약을 체결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네트제란 근로자가 실수령액(세후 금액)으로 특정 금액을 받기로 하고 사용자가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을 별도로 부담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연봉제는 근로자의 능력과 성과에 따라 매년 임금 수준을 결정하는 급여 제도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네트제와 연봉제는 임금 구성 방식과 세금 처리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연봉제는 말 그대로 세전 기준으로 1년간 받을 총 임금(급여 + 수당 포함)을 계약서에 명시하는 방식입니다. 4대보험과 세금이 공제된 후 실수령액이 결정됩니다. 반면, **네트제(Net제)**는 세후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계약하는 방식으로, 세금·보험료를 회사가 역산해 부담하거나 임금에서 공제해 처리합니다.
연봉제 장점은 투명하고 일반적인 방식이며, 법적 분쟁 시 기준이 명확합니다. 단점은 세후 실수령액이 변동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네트제 장점은 근로자가 매달 받는 금액이 고정되어 있어 계획이 쉬우며, 협상 시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총보수 산정이 불투명할 수 있고, 4대보험 산정 기준과 실제 수령액 간 괴리가 생길 수 있다는 점입니다.